국문 APOD/2013

APOD_20130924_The Local Fluff_태양 주위의 성간보플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10. 1. 21:50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September 24 

 

The Local Fluff
Illustration Credit: NASA, Goddard, Adler, U. Chicago, Wesleyan

Explanation: The stars are not alone. In the disk of our Milky Way Galaxy about 10 percent of visible matter is in the form of gas, called the interstellar medium (ISM). The ISM is not uniform, and shows patchiness even near our Sun. It can be quite difficult to detect the local ISM because it is so tenuous and emits so little light. This mostly hydrogen gas, however, absorbs some very specific colors that can be detected in the light of the nearest stars. A working map of the local ISM within 20 light-years, based on ongoing observations and recent particle detections from the Earth-orbiting Interstellar Boundary Exporer satellite (IBEX), is shown above. These observations indicate that our Sun is moving through a Local Interstellar Cloud as this cloud flows outwards from the Scorpius-Centaurus Association star forming region. Our Sun may exit the Local Cloud, also called the Local Fluff, during the next 10,000 years. Much remains unknown about the local ISM, including details of its distribution, its origin, and how it affects the Sun and the Earth. Unexpectedly, recent IBEX spacecraft measurements indicate that the direction from which neutral interstellar particles flow through our Solar System is changing.

Tomorrow's picture: open space

NYSC: 태양 주위의 성간보플 

별은 혼자가 아니다. 성간물질과 함께 한다. 우리 은하수 은하의 원반에 있는 가시 물질의 약 10%가 기체 형태로 존재한다. 이를 성간매질 ISM이라 부른다. 성간매질은 균일하지 않다. 덩어리의 형태를 이루면서 군데군데 뭉쳐 있다. 이 점에서는 태양계 부근도 예외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성간매질의 검출은 쉬운 일이 아니다. 워낙 밀도가 희박한데다가 빛을 거의 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검출방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성간매질의 거의 대부분을 수소기체가 차지하는데, 수소 원자는 특정 색깔의 빛, 즉 특정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므로, 가까운 별들의 스펙트럼을 조사해보면 앞에서 얘기한 특정 파장에서는 검은 흡수선이 보인다. 이와 같은 흡수선들을 분석하여 성간물질의 화학조성, 온도, 밀도, 운동 상태 등을 알아낼 수 있다. 그렇게 얻어낸 결과를 근거로 태양에서 20광년 이내에 존재하는 성간매질의 분포 모형을 구축하여 위 사진에 하나의 가상 이미지로 담아냈다. 이 모형도를 도출하는 데 Interstellar Boundary Explorer의 두문자 조합 IBEX로 불리는 인공위성이 큰일을 해냈다. IBEX는 태양계와 성간매질이 만나는 경계 지대의 상황을 알아낼 목적으로 각종 입자 검출기를 실어 우주에 띄워 올린 지구-궤도 위성이다. 위의 이미지를 보면 태양이 전갈-켄타우루스 별 탄생 지역에서 불어나오는 국부 성간운 속을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태양을 둘러싸고 있는 이 국부 성간운을 특별히 ‘국부 성간보플’이라 부른다. 앞으로 1만 년이 지나면 우리 태양이 국부 성간보플을 벗어날지 모른다. 사실 우리 태양계 근방의 성간매질에 대해서는 우리가 앞으로 알아내야 할 것들이 많이 남아있다. 국부 성간보플의 구조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성간보플의 기원도 모른다. 또 천문학자들은 보플이 태양과 지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무척 알고 싶어 한다. 그런데 최근에 우연히 알게 된 새로운 관측 사실이 있다. IBEX의 입자 검출 결과들을 보면, 중성의 성간 입자들이 태양계로 진입하는 방향이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원문출처:http://apod.nasa.gov/apod/ap13092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