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106_The Dark Tower in Scorpius_ 전갈자리에 우뚝 선 암흑 기둥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10. 31. 12:33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January 6 

 

 

The Dark Tower in Scorpius
Image Credit & Copyright: Don Goldman

Explanation: In silhouette against a crowded star field toward the constellation Scorpius, this dusty cosmic cloud evokes for some the image of an ominous dark tower. In fact, clumps of dust and molecular gas collapsing to form stars may well lurk within the dark nebula, a structure that spans almost 40 light-years across this gorgeous telescopic portrait. Known as a cometary globule, the swept-back cloud, extending from the lower right to the head (top of the tower) left and above center, is shaped by intense ultraviolet radiation from the OB association of very hot stars in NGC 6231, off the upper edge of the scene. That energetic ultraviolet light also powers the globule's bordering reddish glow of hydrogen gas. Hot stars embedded in the dust can be seen as bluish reflection nebulae. This dark tower, NGC 6231, and associated nebulae are about 5,000 light-years away.

Tomorrow's picture: flaming star
 
 

NYSC: 전갈자리에 우뚝 선 암흑 기둥

전갈자리 방향에 오밀조밀 모여 있는 별들을 배경으로 성간먼지 구름이 우뚝 서있습니다. 어딘가 모르게 불길한 징조 같습니다. 어두운 탑의 이미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사실은 저 암흑 성간운 내부에서 성간 먼지와 분자 들로 구성된 구름 덩어리들이 중력 수축 하면서 별들이 만들어지는 중일 것입니다. 망원경으로 찍은 이 멋진 사진에서 우리는 거의 40광년에 걸친 긴 구조물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성간운을 혜성상[] 글로뷸이라는 특별한 이름으로 부릅니다. 사진 우측 하단에서 중심부를 거쳐 거의 상단에 이르기까지 좌측으로 비스듬히 뻗은 암흑 기둥의 모양새를 눈여겨보면, 강력한 무엇인가가 기둥의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 방향으로 휩쓸어간 형국이 역력합니다. 사진의 위쪽 가장자리 그 너머에 산개성단 NGC 6231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성단 구성원들 중에서 매우 뜨거운 OB형 별들이 하나의 군을 이루고 있는데, 여기서 방출된 강력한 자외선 복사가 암흑 성간운을 휩쓸고 가면서 혜성상 글로뷸 구조를 만들어낸 것입니다. 또한 바로 그 자외선 복사가 암흑 성간운 수소가스에 에너지를 퍼부어 표피층이 불그레한 빛을 내게도 합니다. 먼지 층 안에 박혀있는 뜨거운 별들은 푸르스름한 반사성운의 모습으로 드러나 있습니다. 암흑 기둥, NGC 6231, 그리고 근처에 자리한 성간운들로 구성된 이 집단은 태양으로부터 약 5,000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습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10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