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5 366

[APOD] 우주에서 본 줄무늬 도깨비 불빛 (2015.8.21.)

우주에서 본 줄무늬 도깨비 불빛 8월 10일 그믐달과 오리온의 별이 동쪽 수평선 위에 올랐다. 달의 줄어든 모양인 그믐달은 행성지구의 또 다른 거대한 위성인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찍은 스냅 사진 상에 과노출될 정도로 아직 여전히 밝다. 녹색을 띤 대기광은 행성지구의 밤 가장자리를 따라 지구 대기를 보여준다. 그 아래 도시 불빛들과 뇌우에서 발생한 번개 섬광이 멕시코 남부 위로 보인다. 또한 이 사진에는 상층 대기에서 발생한 번개의 놀라운 형체가 포착되었는데, 맨 오른쪽의 번개 불빛 위에 큰 빨간색 줄무늬의 도깨비불빛이 그것이다. 우주 정거장의 궤도 운동 때문에 카메라의 노출시간동안 도시 불빛은 뭉개지고 길게 끌리게 찍힌 반면에, 붉은 도깨비불빛(Sprites)의 극도로 짧은 시간에 나타난 섬광은 뚜..

국문 APOD/2015 2015.08.21

[APOD] 혜성이 아니다.(2015.8.20.)

혜성이 아니다. 18세기 프랑스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는 하늘에서 혜성을 찾는 중 확실히 혜성이 아닌 것들의 목록을 만들었다. 이것은 그의 유명한 혜성이 아닌 천체 목록 중 27번 천체다. 사실 21세기 천문학자들은 이것을 행성상 성운으로 분류했으나, 이것은 비록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둥그런 행성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행성도 아니다. 메시에 27(M27)은 태양과 같은 별이 중심부에 핵연료가 모두 고갈된 후에 만들어지는 가스방출성운의 좋은 예이다. 성운은 별의 바깥층이 바깥 공간으로 터져나가면서 형성되었으며, 죽어가는 별에서 나오는 강렬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에 의해 원자들이 들떠서 생성되는 가시광을 방출한다. 이 성운은 아령성운으로 가장 널리 알려졌으며, 아름다운 좌우대칭의 성간 가스구름이 작은여우..

국문 APOD/2015 2015.08.20

[APOD] 고니자리 중앙에 하늘 풍경(2015.8.19.)

고니자리 중앙에 하늘 풍경 빛나는 수소 가스의 우주적 붓놀림으로, 이 아름다운 하늘 풍경이 우리 은하수 은하면을 가로질러 북반구 별자리 고니(백조)자리 중앙에 펼쳐졌다. 이 특별한 이미지는 약 6도 정도의 하늘 풍경을 담고 있다. 사진의 왼쪽 위에 밝은 초거성 고니자리 감마별이 가스와 먼지 구름의 복합체와 별들이 밀집되어 있는 영역의 전경에 놓여 있다. 고니자리 감마별 왼쪽에는 긴 암흑 먼지 띠에 의해 나눠진 두 개의 밝은 날개 모양을 갖은 IC 1318이 보이며, 이것의 대중적 이름은 당연히 나비 성운이다. 오른쪽 밑에 있는 보다 조밀한 밝은 성운은 NGC 6888, 초승달 성운이다. 고니자리 감마별에 대한 몇 가지 거리 측정에서 이 별은 약 1,800 광년 거리에 있는 반면, IC 1318과 NGC ..

국문 APOD/2015 2015.08.19

[APOD] 혜성 카타리나의 출현(2015.8.18.)

혜성 카타리나의 출현 혜성 카타리나(Catalina)를 맨눈으로 볼 수 있을까? 어느 누구도 확실하게 혜성에 대해 예측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 보인다. 혜성은 카타리나 전천 탐사(Catalina Sky Survey)의 관측에서 2013년에 발견되었다. 그 이후, 혜성 C/2013 US10(Catalina)은 꾸준히 밝아져 왔으며, 현재는 8등급보다 밝아져서 쌍안경이나 긴 노출의 카메라 이미지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을 정도이다. 혜성이 안쪽 태양계로 더 가까워질수록 분명 그것은 계속 밝아질 것이고, 아마도 10월 언젠가에는 맨눈으로 볼 수 있게 되고 11월 말경에는 최대로 밝아질 것이다. 이 혜성은 주로 남반구의 하늘에서 12월 중순까지 볼 수 있을 것이고, 그 후 큰 경사 궤도를 따라 빠..

국문 APOD/2015 2015.08.18

[APOD] 알프스 위로 떠오르는 안드로메다 은하(2015.8.17.)

알프스 위로 떠오르는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은하를 본 적이 있는가? 비록 M31이 맨눈으로 볼 때 희미하고 흐릿하게 퍼진 작은 응어리로 보일지 몰라도, 당신이 보는 빛은 2백만 년 전의 빛이며, 아마 당신이 직접 볼 수 있는 빛 중에서 가장 오래된 빛일 것이다.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는 일몰 후 몇 시간이 지나 떠오르는 안드로메다은하는 매일 조금씩 일찍 떠오르고, 9월부터는 밤새도록 안드로메다은하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사진은 지난 달 이탈리아 알프스 위로 떠오르는 안드로메다은하를 담은 것이다. 맨눈으로 우리 은하수에 이웃하는 안드로메다은하를 보는 것도 멋진 일이지만, 긴 노출의 카메라로는 많이 희미하고 숨 막힐 정도의 자세한 부분까지도 촬영할 수 있다. 최근 보고된 연구에서는, 우리 은하수 은하가 ..

국문 APOD/2015 2015.08.17

[APOD] 혜성, 근일점에 접근하다(2015.8.15.)

혜성, 근일점에 접근하다. 태양과 가장 근접하게 되는 근일점 통과를 몇 시간 앞둔 8월 12일, 혜성 67P/츄리모프-게라시멘코(67P/Churyumov-Gerasimenko)의 핵에서 극적인 분출이 일어났습니다. 이 주기혜성은 6.45년마다 한 바퀴씩 태양을 돌고 있고, 근일점일 때 태양과의 거리가 1.3천문단위(AU)까지 가까워지긴 하지만, 여전히 행성 지구의 궤도(1AU) 바깥에 위치합니다. 4km 크기의 이중 핵 구조를 가진 혜성은, 약 325km정도 떨어져있던 로제타(Rosetta) 탐사선의 과학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었습니다. 태양빛을 받지 못한 부분과, 받은 부분의 음영 때문에 삭막한 느낌까지 드는 사진이네요. 탐사선이 혜성과 너무 가까이 붙어있어서 혜성의 꼬리가 자라는 모습은 볼 수 없지만,..

국문 APOD/2015 2015.08.15

[APOD ] 인챈티드 바위(Enchanted Rock) 너머 혜성 먼지(2015.8.14.)

인챈티드 바위(Enchanted Rock) 너머 혜성 먼지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스위프트-터틀 혜성의 먼지 파편들을 이번 주에 행성 지구가 쓸고 지나간다. 먼지 파편은 59km/s로 짙은 대기를 통과하여 증발되며 페르세우스 유성우의 줄기들을 만든다. 이 밝고 화려한 색채의 페르세우스 유성우 섬광은 20초 노출로 얻어진 것이다. 이것은 8월 12일 자정이 지난 후, 미국 텍사스 주 중앙지역에 있는 인챈티드 바위 주립 자연 지역(Enchanted Rock State Natural Area)의 넓은 반구형 화강암 위로, 달 없는 어두운 밤에 보인 단명의 출연이었다. 페르세우스 유성우 아래에 지평선을 따라 흩뿌려진 빛을 배경으로 나무들의 검은 윤곽이 보이고, 희미한 은하수 자체는 성간 먼지의 어두운 구름들에 의해..

국문 APOD/2015 2015.08.14

[APOD]은하수와 유성폭발(2015.8.12)

은하수와 유성폭발 오늘밤이 페르세우스 유성우를 가장 잘 볼 수 있는 시기이다. 얼음조각의 알맹이들이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는 동안에 증발하여 하늘을 가로지르는 줄무늬의 흔적을 남길 것이다. 이 알맹이들은 스위프트-터틀 혜성에서 부서져 나온 것들이다.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지구가 해마다 스위프트-터틀 혜성의 궤도를 가로지르면서 발생하는 유성우로, 전형적으로 그해에 가장 유성이 많이 보이는 유성우가 된다. 비록 어떤 유성우라도 유성들이 보이는 정도를 예측하는 것은 힘든 일이지만, 맑은 어두운 밤하늘에서 관측자가 1분당 하나 정도의 유성을 볼 수 있을지도 모른다. 올해의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달의 위상이 삭이 되기 바로 전에 발생하므로, 상대적으로 어두운 하늘이 희미한 유성들까지도 볼 수 있게 할 것이다. 일반적으..

국문 APOD/2015 2015.08.12

[APOD] 남극 대륙 위 블루문 달무리(2015.8.11.)

남극대륙 위 블루문 달무리 혹시 달 주위의 달무리를 본 적 있나요? 달무리는 지구 대기에서 떨어지는 얼음 결정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리고 달 주변으로 시야각 22도의 고리로 나타나며, 자주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당신은 블루문을 본 적 있나요? 현대에서는 블루문을 한 달에 뜨는 두 번째 보름달로 정의합니다. 이 역시 드물게 나타나며, 따라서 블루문 주위의 달무리 역시 두 배로 드물게 나타납니다. 이 사진은 지난 달 말 남극의 중산기지((Zhongshan 대만) 근처에서 찍었습니다. 사진 앞쪽에는 발전소와 설상차가 보입니다. 배경에 별처럼 보이는 것들은 사실은 카메라 불빛에 조명된 눈송이입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50811.html Astronomy P..

국문 APOD/2015 2015.08.11

[APOD] 궁수자리 세 쌍의 성운(2015.8.10.)

궁수자리 세쌍의 성운 이 세 개의 빛나는 성운들은 궁수자리와 우리은하 중심부에 별이 밀집되어 있는 시야를 망원경으로 탐사할 때 자주 보게 되는 천체들 입니다. 사실 18세기 우주 탐사자 샤를 메시에 목록에는 세 개중 두 개만 등록되어 있습니다. 왼쪽에 큰 성운인 M8, 오른쪽에 있는 형형색색의 M20입니다. M8 위쪽에 있는 세 번째 성운은 NGC 6559로, 보다 큰 성운 M8로 부터 어두운 먼지 띠에 의해 나뉘어져 있는 형국입니다. 이 세 개의 성운은 별이 태어나는 지역이며 모두 우리로부터 5천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M8은 그 넓이가 약 100광년에 이르며 석호 성운이라고 잘 알려져 있습니다. M20의 대중적인 이름은 삼엽성운입니다. 수소 가스가 방출 성운의 붉은 색을 만들어내고 이와 대조적으로 푸른..

국문 APOD/2015 2015.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