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35

[APOD] IC 1795: 물고기머리 성운 (2014.12.24.)

IC 1795: 물고기머리 성운 어떤 이에게는 이 성운의 모양이 물고기 머리처럼 보였나 봅니다. 그러나 이 다채로운 우주의 초상화는 실제로 IC 1795 안의 밝게 빛나는 가스와 그것을 가리는 먼지구름이 그려낸 것입니다. IC 1795는 하나의 별 생성 영역으로 북쪽 별자리, 카시오페이아 부근에 위치합니다. 이 사진 속 성운의 색은 허블의 가상-색조 팔레트를 활용하여 구현된 것입니다. 산소원자에서 나오는 방출선은 파란색으로, 수소원자의 것은 초록색으로, 황원자의 것은 붉은색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광대역 필터를 통과한 빛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자료를 버무렸습니다. 유명한 페르세우스 이중성단과 하늘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는 IC 1795는 심장 성운, IC 1805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국문 APOD/2014 2014.12.24

[APOD] 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의 절벽(2014.12.23.)

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의 절벽 이 높은 절벽들은 혜성의 표면에서 발생한 것들이다. 그들은 로제타 탐사선에 의해 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의 어두운 핵의 일부에서 발견되었다. 로제타 탐사선은 유롭우주국 ESA가 발사한 무인 우주탐사선으로 8월 초부터 이 혜성 주위를 돌기 시작했다. 사진에 보이는 이곳, 거칠게 파인 절벽은 약 2주전에 로제타가 촬영한 것이다. 절벽이 1km 이상의 높이로 우뚝 솟아있어도 혜성 CG (추류모프–게라시멘코)의 표면 중력이 낮아 사람이 절벽에서 뛰어 내린다 하더라도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절벽의 바닥은 대략 20 미터 크기의 거대한 바위가 박힌 비교적 평평한 지세를 이룬다. 로제타로부터 받은 자료들은 혜성 CG안에 얼음이 있지만 이 얼음은 지구바다의 물과는 현저히 다른 중수소..

국문 APOD/2014 2014.12.23

[APOD] 화성의 불가사의한 메탄(2014.12.22.)

화성의 불가사의한 메탄 화성의 메탄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현재 화성 위를 굴러다니는 큐리오시티 탐사선(robotic Curiosity rover)으로부터 받은 최근 데이터에 의하면 놀랍게도 단 몇 달 만에 대기 중의 메탄이 10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지구상에서는 생명체가 메탄을 생성하는 주공급체이므로 일종의 생명, 아마도 미생물이 화성의 표면 아래에서 메탄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만연해졌다. 다른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가장 선두적인 모델은 화학적인 특정 토양이 화성에 지하수와 혼합되어 갑작스럽게 메탄이 만들어져 방출되었다는 것이다. 화성에 있는 메탄의 기원에 관하여 제안된 안들이 설명과 함께 위의 삽화에 묘사되어 있다. 화성에 있는 메탄의 기원은 큐리오시티와 인도의 화성 궤도선(India..

국문 APOD/2014 2014.12.22

[APOD] 티레니아 해(Tyrrhenian Sea)와 동짓날 하늘(2014.12.21.)

티레니아 해(Tyrrhenian Sea)와 동짓날 하늘 오늘 태양이 지점(至點)에 위치하게 되는 시각은 세계시로 23시 03분이다. 이때 태양은 지구의 천구 적위에서 가장 남쪽에 도달하게 된다. 물론, 12월의 지점(至點)은 북반구에서는 겨울의 시작, 남반구에서는 여름의 시작을 의미한다. 북쪽 위도 지역에서 보게 되면 위에 수평선을 따라 함축된 이미지처럼 태양은 남쪽 지평선 위로 가장 낮은 호를 그리면서 하늘을 지나간다. 그래서 북반구에서는 태양이 이 지점(동지)에 있는 날, 해가 떠서 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일 년 중 가장 짧아서 낮의 길이가 가장 짧다. 이 굉장히 매력적인 합성 이미지는 2005년 태양이 12월의 지점(북반구 기준 동지)을 지나는 날, 이탈리아 산타 세베라(Santa Severa)에..

국문 APOD/2014 2014.12.21

[APOD] 아폴로 11호가 착륙한 지점의 파노라마 사진(2014.12.20.)

아폴로 11호가 착륙한 지점의 파노라마 사진 당신은 최근에 다른 세계에서 본 파노라마 사진을 본 적이 있나요? 이 사진은 원본 필름을 고해상도로 스캔하여 모아 만든 것으로, 참으로 아름답고 황량하게 펼쳐진 달의 ‘고요의 바다’ 모습입니다. 이곳은 Apollo 11호가 착륙한 지점입니다. 아주 왼쪽 프레임은 달 착륙모듈 이글호(Eagle Lunar Module)의 창밖을 바라보며 닐 암스트롱이 촬영한 사진으로 다른 세계에서 인류가 처음 촬영한 것입니다. 남쪽으로, 반동 추진엔진 노즐이 사진의 왼쪽 전경에 보입니다. 반면, 오른쪽에는 서쪽으로 뻗은 이글호(Eagle)의 그림자가 보입니다. 크기를 간음하자면, 사진의 오른쪽에 있는 거대하고 야트막한 운석구가 지름이 약 12m입니다. 이 사진은 월면에 발을 내딛..

국문 APOD/2014 2014.12.20

[APOD]1970년대의 반사 성운들(2014.12.19.)

1970년대의 반사 성운들 1970년대 숫자를 갖는 반사 성운으로 오리온자리 안에 위치한 NGC 1977과 NGC 1975 그리고 NGC 1973과 같은 아름다운 반사성운들이 있지만, 때때로 천문학자들에게 무시되곤 한다. 근처에 별들의 요람으로 상당히 밝게 빛나는 오리온성운이 더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보통 간과되었다. 이 반사성운들은 밝은 오리온성운 복합체의 바로 북쪽에 오리온의 칼을 따라 찾을 수 있으며, 약 1500광년 떨어져 있는 오리온의 거대 분자운과도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뜨겁고 젊은 별로부터 나온 빛이 성간 먼지의 반사에 의해 특유의 파란 색을 많이 보이고 있다. 이 선명한 사진 속에서는 오리온성운의 일부가 사진 중간에 있는 반사성운의 무리와 함께 가장자리 아래를 따라 보이기 시작한다. NGC..

국문 APOD/2014 2014.12.19

[APOD] NGC7331과 그 너머(2014.12.18.)

NGC 7331과 그 너머 거대하고 아름다운 나선은하 NGC 7331은 우리은하와 유사한 은하로 종종 광고되고 있다. 북쪽하늘의 페가수스자리에 약 5,000만 광년 떨어진 NGC 7331은 처음부터 나선 성운으로 인식되었지만, 실제로 18세기 찰스 메시어의 유명한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밝은 은하들 중에 하나다. 은하의 원반이 우리 시선 방향으로 기울어져있기 때문에 망원경의 노출을 길게 주었을 때 종종 강한 인상을 남길 수 있는 이미지를 얻게 된다. 작은 망원경으로 얻은 이 분명한 사진에는 긴 노출의 결과로 이 멋진 섬 우주 너머로 놓여 있는 은하들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가장 눈에 띄는 배경 은하들은 NGC 7331의 겉보기 크기에 약 1/10이므로 대략 10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들이다. 이들이 하늘..

국문 APOD/2014 2014.12.18

[APOD] 발랑산(Mt. Balang) 위의 쌍둥이자리 불덩이(2014.12.17.)

발랑산 (Mt. Balang) 위의 쌍둥이자리 불덩이 이 사진은 꼭 기억해야 하는 하늘의 모습이다. 며칠 전 쌍둥이자리 유성우가 떨어질 때 그림 같은 풍경을 자랑하는 중국 바랑산 위로 밝은 불덩이 하나가 포착되었다. 전경에는 빛을 담은 구름들이 바다를 이루듯 어두운 산봉우리 사이를 흐르고 있다. 배경에는 익숙한 오리온자리의 세 별이 사진의 오른쪽 상단 근처에서 밝게 빛나고 있다. 사진 중앙에서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볼 수 있다. 밝은 불덩이는 단지 오른쪽 아래에서 수분의 일초 동안 잠깐 번쩍였을 뿐이다. 이 화구는 태양을 공전하던 소행성과 같은 천체 3200 파에톤(3200 Phaethon)에서 떨어져 나온 파편이 지구대기와 부딪히면서 만들어진 현상이다. 원문출처: http://apod..

국문 APOD/2014 2014.12.17

[APOD]별생성 기둥들(2014.12.16)

W5 : 별생성 기둥들 별 생성은 어떻게 일어날까? 나사의 광시야적외선탐사 인공위성(Wide Field Infrared Survey Explorer = WISE)이 제공한 적외선 이미지, 별 탄생지역 W 5의 이미지는 분명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즉 텅 빈 구멍의 중심 가까이에 있는 무거운 별들이 가장자리 근처에 있는 별들보다 더 늙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한 그럴듯한 이유는 중심부의 늙은 별들이 실제로 가장자리 젊은 별의 생성을 자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자극에 의한 별 생성은 뜨겁게 밀려오는 가스가 차가운 가스를 압축하여 중력수축에 의해 별이 생성되기에 충분히 높은 밀도로 압축해서 별 생성이 일어나는 것이다. 과학적으로 색을 낸 적외선 이미지에서, 뜨겁게 분출한 가스로부터 서서히..

국문 APOD/2014 2014.12.16

[APOD] 포츠담 중력 감자 (2014.12.15.)

포츠담 중력 감자 왜 지구에서 어떤 장소의 중력은 다른 곳보다 클까? 때때로 그 이유가 밝혀지지 않았다. 지구 표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궤도 인공위성인 그레이스(GRACE)와 챔프(CHAMP)의 정밀한 측정도구가 지구의 중력장에 대한 지도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 독일의 포츠담에 이러한 자료를 연구하고 있는 센터가 있고, 결과가 지구를 감자처럼 보이게 만들었기 때문에, 이 지오이드 결과는 포츠담 중력감자로 불려왔다. 이 지도에서 붉은색 부분은 보통의 중력보다 조금 높은 지역을 나타내는 반면, 푸른 지역은 조금 약한 곳이다. 포츠담 중력 감자의 많은 돌출부와 협곡들은 북대서양 중앙해령과 히말라야 산맥과 같은 표면 지형들에 의해 기인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나머지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비정상적으로 높거..

국문 APOD/2014 2014.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