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December 16
Image Credit: Chinese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Xinhuanet
Explanation: A new desk-sized rover has begun exploring the Moon. Launched two weeks ago by the Chinese National Space Administration, the Chang'e 3 spacecraft landed on the Moon yesterday and deployed the robotic rover. Yutu, named for a folklore lunar Jade Rabbit, has a scheduled three-month mission to explore several kilometers inside the Sinus Iridum (Latin for "Bay of Rainbows") impact crater. Yutu's cameras and spectrometers will investigate surface features and composition while ground penetrating radar will investigate deep soil structure. Chang'e 3 achieved the first soft Moon landing since the Soviet Union's Luna 24 in 1976, and Yutu is the first lunar rover deployed since the USSR's Lunokhod 2 in 1973. Pictured above, Yutu was imaged from its lander yesterday soon after rolling onto the Moon.
Tomorrow's picture: meteors volcano
NYSC: 위투 탐사로봇, 달 위를 구르다.
책상 크기의 탐사로봇이 달을 새로 탐사하기 시작했습니다. 2주 전에 발사한 중국 국가항천국国 家航天局의 창어 3호 우주선이 어제 달에 착륙하여 탐사로봇을 배치했습니다. 위투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옛적부터 전해오는 달의 옥토끼를 의미합니다. 위투는 앞으로 3개월 동안 ‘무지개 만’ 충돌구덩이 안에서 수 킬로미터의 지역을 탐사하는 미션을 수행하게 됩니다. 위투에 실린 카메라와 분광기가 달 표면의 지형적 특성과 토양 성분을 분석 하는 동시에 땅 속으로 전파傳播될 수 있는 전파電波를 이용하여 지하 깊은 곳의 토양 구조도 함께 조사할 예정입니다. 1976년 발사한 구소련의 루나 24호 이후, 달 연착륙에 처음 성공한 우주선이 바로 창어 3호라 하겠습니다. 그리하여 위투는 1973년에 구소련의 루노호트 2호 이후로 달에 보내진 첫 번째 탐사로봇인 셈입니다. 위의 사진은 어제 착륙선에서 내린 위투가 달 위를 굴러가는 모습입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1218_Light Pillars over Finland_핀란드 밤하늘에 켜진 빛기둥 (0) | 2014.02.05 |
---|---|
APOD_20131217_Geminid Meteors over Teide Volcano_Teide 화산 위로 떨어지는 쌍둥이자리 유성우 (0) | 2014.02.05 |
APOD_20131215_Gibbous Europa_현망간弦望間 위상의 유로파 (0) | 2014.02.05 |
APOD_20131214_The Bubble Nebula_비눗방울 성운 (0) | 2014.02.05 |
APOD_20131213_Geminid Meteor Shower over Dashanbao Wetlands_‘Dashanbao’ 습지로 찾아온 쌍둥이자리 유성우 (0) | 201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