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December 14
Image Credit & Copyright: J-P Metsävainio (Astro Anarchy)
Explanation: Blown by the wind from a massive star, this interstellar apparition has a surprisingly familiar shape. Cataloged as NGC 7635, it is also known simply as The Bubble Nebula. Although it looks delicate, the 10 light-year diameter bubble offers evidence of violent processes at work. Above and right of the Bubble's center is a hot, O star, several hundred thousand times more luminous and around 45 times more massive than the Sun. A fierce stellar wind and intense radiation from that star has blasted out the structure of glowing gas against denser material in a surrounding molecular cloud. The intriguing Bubble Nebula lies a mere 11,000 light-years away toward the boastful constellation Cassiopeia. This natural looking view of the cosmic bubble is composed from narrowband image data, also used to create a 3D model.
NYSC: 비눗방울 성운
큰 질량의 별로부터 나온 항성풍이 이토록 익숙한 모습의 천체를 빚어놓았습니다. 목록에 NGC 7635로 등재된 이 성운을 우리는 간단히 비눗방울 성운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그 지름이 10광년에 이르니 무척 큰 방울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현재 이 방울에 여러 가지의 격렬한 과정들이 진행 중임을 알 수 있습니다. 방울 중심의 오른쪽 위에 매우 뜨거운 O형별이 하나 있는데, 그 광도가 태양의 수십만 배에 이르며 질량은 태양의 45배로 대단한 규모의 것입니다. 이 별에서 나온 격렬한 항성풍과 강력한 복사가 주변의 발광 기체를 분자운 표면에다 밀어 붙였습니다. 흥미로운 모양을 한 비눗방울 성운은, 뽐내기의 대명사인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으로 겨우 11,000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습니다. 이 우주 거품의 자연스러운 모습은 협대역의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구현된 것입니다. 같은 협대역 자료가 비눗방울 성운의 3차원 모형을 만드는 데 쓰이기도 했습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1216_Yutu Rover Rolls onto the Moon_위투 탐사로봇, 달 위를 구르다. (0) | 2014.02.05 |
---|---|
APOD_20131215_Gibbous Europa_현망간弦望間 위상의 유로파 (0) | 2014.02.05 |
APOD_20131213_Geminid Meteor Shower over Dashanbao Wetlands_‘Dashanbao’ 습지로 찾아온 쌍둥이자리 유성우 (0) | 2014.02.05 |
APOD_20131212_Alnitak, Alnilam, Mintaka_알리탁, 알닐람, 민타카 (0) | 2014.02.05 |
APOD_20131211_The Coldest Place on Earth_지상에서 가장 추운 곳 (0) | 201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