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2013 December 10
Image Credit: Hubble Legacy Archive, NASA, ESA; Processing: Judy Schmidt
Explanation: What will survive this battle of the galaxies? Known as Seyfert's Sextet, this intriguing group of galaxies lies in the head portion of the split constellation of the Snake (Serpens). The sextet actually contains only four interacting galaxies, though. Near the center of this Hubble Space Telescope picture, the small face-on spiral galaxy lies in the distant background and appears only by chance aligned with the main group. Also, the prominent condensation on the upper left is likely not a separate galaxy at all, but a tidal tail of stars flung out by the galaxies' gravitational interactions. About 190 million light-years away, the interacting galaxies are tightly packed into a region around 100,000 light-years across, comparable to the size of our own Milky Way galaxy, making this one of the densest known galaxy groups. Bound by gravity, the close-knit group may coalesce into a single large galaxy over the next few billion years.
Tomorrow's picture: yet colder
NYSC: 시퍼트은하 6중주단
여기가 은하들의 전쟁이 벌어지는 현장입니다. 전쟁의 최종 결과가 무엇일지 궁금합니다. 시퍼트은하 6중주단이란 이름으로 알려진 이 일련의 은하들은, 땅꾼자리에 의해 반으로 잘렸다는, 뱀자리의 뱀 머리 부분에 위치합니다. 육중주단이라고하지만 실제로 상호작용 중인 은하는 네 개뿐입니다.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이 사진의 중심부 근처를 보면, 은하 원반면을 우리에게 다 내보이고 있는 작은 나선은하가 하나 있습니다. 실제로 이 은하는 어쩌다가 육중주단의 방향에 놓이게 된 먼 배경은하입니다. 좌측 상단부에는 뭔가 뿌연 물질이 뭉쳐있습니다. 이것은 하나의 독립된 은하가 아니라 은하들 사이의 조석 작용으로 인하여 은하 밖으로 끌려 나온 별들이 이루는 조석꼬리일 뿐입니다. 육중주단의 핵심 구성원은 우리로부터 약 1억 9천만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습니다. 상호작용 중인 이 은하들은, 전체 폭이 약 십만 광년에 이르는 지역 안에 중력적으로 단단히 묶여 있습니다. 10만 광년이라면 대략 우리은하 하나의 크기에 해당합니다. 그러니까 시퍼트은하 육중주단은 현재까지 알려진 은하군 중에서 가장 단단히 묶여 있는 고밀의 은하군인 셈입니다. 상호 중력으로 묶여 있는 이들도 앞으로 수십억 년이 지나면 결국 서로 뭉쳐져서 하나의 거대한 은하로 만들어질 것입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1212_Alnitak, Alnilam, Mintaka_알리탁, 알닐람, 민타카 (0) | 2014.02.05 |
---|---|
APOD_20131211_The Coldest Place on Earth_지상에서 가장 추운 곳 (0) | 2014.02.05 |
APOD_20131209_Comet Lovejoy Over a Windmill_풍차의 배경 하늘에 빗긴 혜성 러브조이 (0) | 2014.02.05 |
APOD_20131208_Everest Panorama from Mars_화성의 에베레스트 파노라마 사진 (0) | 2014.02.05 |
APOD_20131207_Naked Eye Nova Centauri 2013_육안으로 관측 가능한, 켄타우루스자리 신성 2013 (0) | 201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