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December 8
Image Credit: Mars Exploration Rover Mission, Cornell, JPL, NASA
Explanation: If you could stand on Mars -- what might you see? Scroll right to find out. The robotic Spirit rover that rolled around Mars from 2004 to 2009 Mars climbed to the top of a hill in 2005 and took a series of images over three days that were then digitally combined into a 360 degree panorama. Spirit was instructed to take images having the same resolution as a human with 20-20 eyesight. The full panoramic result can be found by clicking on the above image and has a level of detail unparalleled in the history of Martian surface photography. The panorama was taken from the pinnacle of Husband Hill and has been dubbed the Everest panorama, in honor of the view from the tallest mountain on Earth. Visible in Gusev Crater are rocks, rusting sand, a Martian sundial, vast plains, nearby peaks, faraway peaks, and sand drifts. In the distance, fast moving dust devils can be seen as slight apparitions of red, green, or blue, the colors of filters used to build up this natural color vista.
Tomorrow's picture: windmill comet
NYSC: 화성의 에베레스트 파노라마 사진
만약 당신이 화성 표면에 서있다면 어떤 것들을 볼 수 있을까요? 화면 스크롤을 오른쪽으로 옮겨보면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스피릿 화성탐사로봇이 2005년부터 2009년까지 화성 표면을 돌아다니면서 탐사를 진행했습니다. 2005년에 산 정상에 올라가서 3일 동안 연속으로 촬영했습니다. 그 이미지들을 합성해서 360 파노라마를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스피릿 로버가 촬영한 사진의 해상도는 인간의 시력과 비교해 볼 때 미국식 시력 표현 방식으로 20/20입니다. 파노라마의 원본은 이미지를 클릭하면 볼 수 있으며, 이것이 역사상 화성 표면사진 중에서 가장 높은 해상도의 것입니다. 이 파노라마는 Husband Hill의 정상에서 촬영한 것이며, 에베레스트 파노라마라고 별명을 붙여 보았습니다. 지구의 가장 높은 산인 에베레스트의 정상에서도 비슷한 파노라마가 만들어진 적이 있습니다(2005년 3월 6일자 APOD 참조). 이를 기리기 위해서 그렇게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Gusev 크레이터 안에 있는 돌멩이들, 산화된 모래, 스피릿 로버 위 해시계, 광대한 평원, 가까이 있는 그리고 또 멀리 보이는 봉우리 들에다 유사(流砂)까지, 이 모두가 위 사진에 다 나타나 있습니다. 먼 곳에서 이는 회오리 모래바람이 붉은색, 초록색, 파란색을 띠며 어쩌면 유령같이 보이는 것은, 자연의 색감을 재현하기 위해 이런 색깔의 필터를 장착해서 촬영했기 때문입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1210_Seyfert's Sextet_시퍼트은하 6중주단 (0) | 2014.02.05 |
---|---|
APOD_20131209_Comet Lovejoy Over a Windmill_풍차의 배경 하늘에 빗긴 혜성 러브조이 (0) | 2014.02.05 |
APOD_20131207_Naked Eye Nova Centauri 2013_육안으로 관측 가능한, 켄타우루스자리 신성 2013 (0) | 2014.02.05 |
APOD_20131206_Gamma-Ray Earth and Sky_감마선으로 본 지구와 하늘 (0) | 2014.02.05 |
APOD_20131205_Planetary Nebula Abell 7_행성상 성운 Abell 7 (0) | 2014.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