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December 7
Image Credit & Copyright: Yuri Beletsky (Las Campanas Observatory, Carnegie Institution)
Explanation: Brightest stellar beacons of the constellation Centaurus, Alpha and Beta Centauri are easy to spot from the southern hemisphere. For now, so is new naked eye Nova Centauri 2013. In this night skyscape recorded near Las Campanas Observatory in the Chilean southern Atacama desert on December 5, the new star joins the old in the expansive constellation, seen at early morning hours through a greenish airglow. Caught by nova hunter John Seach from Australia on December 2 as it approached near naked eye brightness, Nova Cen 2013 has been spectroscopically identified as a classical nova, an interacting binary star system composed of a dense, hot white dwarf and cool, giant companion. Material from the companion star builds up as it falls onto the white dwarf's surface triggering a thermonuclear event. The cataclysmic blast results in a drastic increase in brightness and an expanding shell of debris. The stars are not destroyed, though. Classical novae are thought to recur when the flow of material onto the white dwarf eventually resumes and produces another outburst.
NYSC: 육안으로 관측 가능한, 켄타우루스자리 신성 2013
켄타우루스자리 알파와 베타는 남반구 밤하늘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켄타우루스자리의 등대별입니다. 그런데 현재 이 별자리에서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한 별이 새로 나타났습니다. 바로 켄타우루스자리 신성 2013입니다. 위 사진은 칠레 남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Las Campanas 천문대에서 12월 5일의 야경을 촬영한 것입니다. 새벽녘 초록빛 대기광 너머에 새로운 별이, 우리가 알고 있던 켄타우루스자리의 별들과 자리를 함께하고 있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신성 추적자 John Seach가 12월 2일에 발견한, 이 별은 전형적인 신성의 특징을 보이는 스펙트럼을 갖고 있습니다. 여기서 전형적이란, 상호 작용하는 쌍성계에서 예상되는 스펙트럼이라는 뜻입니다. 한 별은 밀도와 온도가 매우 높은 백색왜성이고, 이 별의 동반성은 온도가 낮은 거성입니다. 동반성의 물질이 백색왜성의 표면으로 떨어져 쌓이다 보면 경계면의 온도가 증가하여 결국 열핵반응이 촉발되는 것입니다. 그 결과, 백색왜성의 밝기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유입된 물질 층이 폭발적으로 팽창하게 됩니다. 그러나 쌍성계를 이루는 두 별이 파괴되지는 않습니다. ‘고전적 신성’이라 불리는 전형적인 신성들의 경우, 적정 규모 이상의 물질이 백색왜성으로 유입될 때, 또 다른 폭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때마다 신성 활동이 반복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1209_Comet Lovejoy Over a Windmill_풍차의 배경 하늘에 빗긴 혜성 러브조이 (0) | 2014.02.05 |
---|---|
APOD_20131208_Everest Panorama from Mars_화성의 에베레스트 파노라마 사진 (0) | 2014.02.05 |
APOD_20131206_Gamma-Ray Earth and Sky_감마선으로 본 지구와 하늘 (0) | 2014.02.05 |
APOD_20131205_Planetary Nebula Abell 7_행성상 성운 Abell 7 (0) | 2014.02.05 |
APOD_20131204_Comet Lovejoy through Mörby Castle Ruins_뫼르비 성의 폐허 사이로 나타난 혜성 러브조이 (0) | 201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