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February 18
Video Credit & Copyright: RussiaToday
Explanation: What in heaven's blazes is that? Thousands of people living near the Ural Mountains in Russia saw last Friday morning one of the more spectacular meteors of modern times streak across the sky. Forceful sound waves arrived at the ground minutes later, knocking people over and breaking windows for hundreds of kilometers. The above video is a compilation of several car dashcams and includes real time footage of the meteor rampaging, smoke trails drifting, shadows quickly shifting, and even the meteor's light reflecting off the back of a bus. The fireball is thought to have been caused by a car-sized chunk of ice and rock crashing into the Earth's atmosphere. Since the event was captured from so many angles, the meteor's trajectory has become determined well enough to indicate from where it came and to where any resultant pieces might have landed. It is already certain that this meteor had nothing to do with the several-times larger asteroid 2012 DA14 which passed the Earth from a different direction later the same day. If pieces of the meteor are found, they might tell humanity more about the early Solar System, when the meteor was likely formed.
Tomorrow's picture: mercurian horizon
NYSC: 2013년, 거대한 유성의 러시아 출현
눈부시게 불타는 하늘의 저것이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지난 금요일 오전, 우랄산맥 근처에 사는 수천 명의 러시아 사람들이 현대에 가장 장관을 이룬 유성들 중 하나가 하늘을 가로질러 질주하는 모습을 현장에서 목격할 수 있었다. 화구의 불빛이 번쩍한 지 몇 분이 지난 후에 가령한 소리의 파동이 지축을 흔들었다. 반경 수백 km안 지역의 사람들이 맞아 넘어졌으며 건물 유리창들이 산산조각으로 부서졌다. 위에 보인 비디오는 몇 대의 차량에서 무인카메라가 촬영한 것을 편집․합성한 결과이다. 유성이 한바탕 휩쓸고 지나간 하늘은 광란의 현장이었다. 길게 떠도는 연기의 꼬리, 이리저리 빠르게 위치를 바꾸는 그림자들, 유성의 빛이 버스 뒤쪽에 반사된 광경까지 모두가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이다. 이 엄청난 규모의 화구 현상은 모두가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한 얼음과 암석이 자동차 크기의 유성체의 소행이었다. 이 사건의 진행 상황이 여러 각도에서 촬영됐으므로, 해당 유성체의 궤도 성분이 그런대로 충분히 밝혀져서 화구의 형태로 나타난 유성체의 기원지가 어디이며 화구 조각들의 착륙 가능 지점 등이 알려졌다. 같은 날 이보다 시간이 좀 지난 다음에 이와는 다른 방향에서 지구에 접근한 이보다 몇 배나 더 큰 소행성이 있었다. 즉 2012 DA14라는 이름의 소행성과 우랄의 화구는 서로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밝혀졌다. 앞으로 이 유성체의 조각들이 더 발견된다면, 그 조각들이 우리 인류에게 이 유성체가 형성될 당시의 태양계 상황을 일부 알려 줄 것이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220_Saturn's Hexagon and Rings_토성에 나타난 육각형과 고리구조 (0) | 2013.05.14 |
---|---|
APOD_20130219_Mercury on the Horizon_지평선 위에 나타난 수성 (0) | 2013.05.14 |
APOD_20130217_Asteroid 2012 DA14 Passes the Earth_소행성 2012 DA14, 지구를 지나가다 (0) | 2013.05.14 |
APOD_20130216_Sweeping Through Southern Skies_남천을 휩쓰는 중 (0) | 2013.05.14 |
APOD_20130215_Shadows Across Jupiter_목성 표면을 가로지르는 두 그림자 (0) | 201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