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217_Asteroid 2012 DA14 Passes the Earth_소행성 2012 DA14, 지구를 지나가다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5. 14. 19:11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February 17

Asteroid 2012 DA14 Passes the Earth
Video Credit & Copyright: Daniel López (El Cielo de Canarias)

Explanation: There it goes. That small spot moving in front of background stars in the above video is a potentially dangerous asteroid passing above the Earth's atmosphere. This past Friday, the 50-meter wide asteroid 2012 DA14 just missed the Earth, passing not only inside the orbit of the Moon, which is unusually close for an asteroid of this size, but also inside the orbit of geosynchronous satellites. Unfortunately, asteroids this big or bigger strike the Earth every 1000 years or so. Were 2012 DA14 to have hit the Earth, it could have devastated a city-sized landscape, or stuck an ocean and raised dangerous tsunamis. Although finding and tracking potentially dangerous asteroids is a primary concern of modern astronomy, these small bodies or ice and rock are typically so dim that only a few percent of them have been found, so far. Even smaller chunks of ice and rock, like the (unrelated) spectacular meteors that streaked over Russia and California over the past few days, are even harder to find -- but pose less danger.

Gallery: Videos and images of 2012 DA14
Tomorrow's picture: braking news on Russian meteor

NYSC: 소행성 2012 DA14, 지구를 지나가다

자 보세요, 이제 시작합니다. 위 비디오에서 배경별들 앞으로 움직이는 저 작은 반점이 어쩌면 지구에 엄청난 위험을 안겨줄 수 있는 소행성으로 지금 지구의 대기권 상공을 통과 중입니다. 지난 금요일이었습니다. 크기 50m 규모의 소행성 2012 DA14가 지구를 살짝 빗겨갔습니다. 달 궤도 안으로까지 들어왔습니다. 이 정도 크기의 소행성이 이 정도로 지구에 가까이 오는 경우 자체가 매우 드문 일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실은 정지 위성 궤도 내부에까지 이르렀습니다. 지극히 이례적인 상황입니다. 안된 얘기지만 이 정도 크기나 이보다 좀 더 큰 소행성은 1000년에 한 차례 정도의 빈도로 지구와 부딪칩니다. 소행성 2012 DA14가 지구를 강타했다면 도시 하나 규모 지역의 풍경이 완전히 파괴됐을 수 있었습니다. 만약 바다에 떨어진다면 위험한 쓰나미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잠재적 위험 요인으로 판단되는 소행성을 찾아 그 궤도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것이 현대 천문학의 일차적인 주 관심사입니다. 하지만, 작은 천체, 즉 얼음과 암석 성분의 바위 덩어리들의 경우 너무 작아서 매우 어둡습니다. 그래서 그들 중 수 퍼센트에 해당되는 일부만 발견되었을 뿐입니다. 바로 요 며칠 전에 러시아와 캘리포니아 하늘에 장관을 이뤘던 유성우를 아시나요. 얼음과 암석 성분으로 된 작은 유성체 조각들은 소행성 2012 DA14보다 발견이 훨씬 더 힘듭니다. 물론 위험의 정도도 그만 못합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러시아 화구는 2012 DA14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21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