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214_Solar System Portrait_태양계의 가족사진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5. 14. 17:28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February 14 

Solar System Portrait
Image Credit: Voyager Project, NASA

Explanation: On another Valentine's Day (February 14, 1990), cruising four billion miles from the Sun, the Voyager 1 spacecraft looked back to make this first ever family portrait of our Solar System. The complete portrait is a 60 frame mosaic made from a vantage point 32 degrees above the ecliptic plane. In it, Voyager's wide angle camera frames sweep through the inner Solar System at the left, linking up with gas giant Neptune, at the time the Solar System's outermost planet, at the far right. Positions for Venus, Earth, Jupiter, Saturn, Uranus, and Neptune are indicated by letters, while the Sun is the bright spot near the center of the circle of frames. The inset frames for each of the planets are from Voyager's narrow field camera. Unseen in the portrait are Mercury, too close to the Sun to be detected, and Mars, unfortunately hidden by sunlight scattered in the camera's optical system. Small, faint Pluto's position was not covered.

APOD Public Talk: Feb. 21, Howard Astronomical League, Columbia, MD
Tomorrow's picture: ruling gas giant
 

NYSC: 태양계의 가족사진

1990년 2월 14일은 인류사에 길이 남을 발렌타인데이였다. 태양으로부터 64억 킬로미터 떨어진 지역을 여행하던 보이저 우주선 1호가 자신의 시선을 뒤로 돌려 태양계 가족 하나하나의 모습을 촬영하였다. 태양계 가족사진으로는 최초의 것이리라. 이 초상화는 황도면에서 32도 벗어난 방향으로 촬영한 총 60개 프레임의 모자이크 사진이다. 보이저의 광시야 카메라가 왼쪽 태양계 내부에서부터 오른쪽 끝에 보이는 거대 기체 행성 해왕성까지를 휩쓸고 지나갔다. 촬영 당시 태양계의 가장외곽에 자리하는 해왕성이 사진의 가장 오른쪽에 오게 됐다. 금성, 지구,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의 위치는 각각의 이름 첫 글자로 표시했다. 반면에 태양은, 몇 개의 프레임들이 그리는 동그란 구조의 중심 근처에서 밝게 빛나는 점으로 나타내었다. 삽화揷畵로 처리된 각 행성의 모습은 보이저의 협시야 카메라가 촬영한 것이다. 이 사진에 수성이 보이지 않는 것은 태양에 너무 가깝기 때문이었고, 화성은 유감스럽게도 카메라 광학계에 산란된 태양빛에 파묻혀버렸다. 작고 희미한 명왕성은 이 가족사진에 포함되지 않았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21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