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211_N11: Star Clouds of the LMC_N11: 대마젤란성운의 별 구름[성운]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5. 10. 17:53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February 11 

N11: Star Clouds of the LMC
Image Credit: NASA, ESA, J. Lake (Pomfret School

Explanation: Massive stars, abrasive winds, mountains of dust, and energetic light sculpt one of the largest and most picturesque regions of star formation in the Local Group of Galaxies. Known as N11, the region is visible on the upper right of many images of its home galaxy, the Milky Way neighbor known as the Large Magellanic Clouds (LMC). The above image was taken for scientific purposes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and reprocessed for artistry by an amateur to win the Hubble's Hidden Treasures competition. Although the section imaged above is known as NGC 1763, the entire N11 emission nebula is second in LMC size only to 30 Doradus. Studying the stars in N11 has shown that it actually houses three successive generations of star formation. Compact globules of dark dust housing emerging young stars are also visible around the image.

Tomorrow's picture: pad sky

NYSC: N11: 대마젤란성운의 별 구름[성운] 

질량이 큰 별들, 세차게 불어대는 칼바람, 산맥을 이룬 성간티끌의 존재, 그리고 강력한 복사장이 넓지만 그림같이 단아한 별 탄생 지역 하나를 국부 은하군에 아주 멋지게 빚어 놓았다. 우리는 N11로 알려진 이 지역을 자신이 속해 있는 은하, 즉 대마젤란운의 다양한 이미지의 우측 상방에서 어김없이 만날 수 있다. 누구나 알고 있듯이 마젤란 대성운은 우리 은하수 은하의 이웃이다. 위의 사진은 원래 과학적 연구를 목적으로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것이었지만, 한 아마추어가 예술적으로 재처리하여 ‘허블의 숨겨진 보물’ 드러내기 경연에서 우승을 거머쥘 수 있었던 작품이다. 이 사진에 드러난 부분만 따로 NGC 1763이라 부르지만, 마젤란 대성운에서 방출성운 N11이 차지하는 전역이 두 번째로 넓다. 첫 번째 위치는 ‘황새치자리 30’이란 공식 명칭의 독거미 성운이 차지한다. N11에 있는 별들을 자세히 연구해본 결과, 우리는 이 지역에서 별 탄생이 사실상 3대에 걸쳐 진행됐음을 알게 됐다. 티끌 때문에 자신의 존재가 드러난 고밀의 소형 암흑 구상체들은 그 안에 갓 태어난 어린 별들을 품고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암흑 구상체를 우리는 이 사진 도처에서 알아볼 수 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21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