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1204_Comet Lovejoy through Mörby Castle Ruins_뫼르비 성의 폐허 사이로 나타난 혜성 러브조이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4. 2. 4. 19:03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December 4 

Comet Lovejoy through Mörby Castle Ruins
Image Credit & Copyright: P-M Hedén (Clear Skies, TWAN)

Explanation: This new comet is quite photogenic. Comet Lovejoy, discovered only three months ago, was imaged through ruins of ancient Mörby Castle in Sweden last week sporting a green-glowing coma and tails trailing several degrees. The past few weeks have been an unusually active time for comet watchers as four comets were visible simultaneously with binoculars: ISON, Lovejoy, Encke, and LINEAR. C/2013 R1 (Lovejoy) comet is currently visible to the unaided eye from a dark location. As Monday's new Moon will provide little glare, the next few days provide a good time to see Comet Lovejoy as it reaches its peak brightness. In two and a half weeks, Comet Lovejoy will reach its closest approach to the Sun at a distance just inside the orbital distance of the Earth.

Late ISON News: Multiple views from Sun-observing spacecraft
Tomorrow's picture: open space  

NYSC: 뫼르비 성의 폐허 사이로 나타난 혜성 러브조이

이번에 새로 나타난 혜성은 사진발을 잘 받는 녀석인가 봅니다. 발견 된 지 3개월밖에 안된 혜성 러브조이를 우리는 지난주에 스웨덴의 고대 성 뫼르비의 폐허를 전경으로 하여 담아낼 수 있었습니다. 이 사진을 보면 녹색의 빛을 발하는 코마와 몇 가닥의 꼬리가 밤하늘에 몇 도(°)에 걸쳐 아주 길게 뻗쳐 있습니다. 혜성 관측자라면 지난 몇 주 동안은 매우 분주한 시간을 보냈을 것입니다. 혜성이 네 개나 동시에 나타났거든요. 모두 쌍안경망으로도 잘 볼 수 있는 밝기입니다. 아이손, 러브조이, 엥케, 리니아가 그들 네 동무의 이름입니다. 러브조이라는 별명의 혜성 C/2013, 하늘이 충분히 어두운 지역에서라면, 현재 맨 눈으로도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밝습니다. 월요일에 뜰 초승달은 혜성 관측에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앞으로 며칠이 러브조이를 관측할 절호의 기회가 될 것입니다. 이 동안에 러브조이의 밝기가 최대를 향해 계속 증가할 터이니 말입니다. 러브조이는 앞으로 2.5주 안에 태양에 가장 가까이, 즉 근일점을 통과하게 됩니다. 물론 이 혜성의 근일점은 지구 궤도 안쪽에 있습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120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