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1128_NGC 1999 South of Orion_NGC 1999 사냥꾼 오라이온의 남쪽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4. 2. 4. 18:26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November 28 

NGC 1999: South of Orion
Image Data: Subaru Telescope (NAOJ), Hubble Space Telescope,
Additional Color Data and Processing: Robert Gendler

Explanation: South of the large star-forming region known as the Orion Nebula, lies bright blue reflection nebula NGC 1999. At the edge of the Orion molecular cloud complex some 1,500 light-years distant, NGC 1999's illumination is provided by the embedded variable star V380 Orionis. That nebula is marked with a dark sideways T-shape near center in this cosmic vista that spans about 10 light-years. The dark shape was once assumed to be an obscuring dust cloud seen in silhouette against the bright reflection nebula. But recent infrared images indicate the shape is likely a hole blown through the nebula itself by energetic young stars. In fact, this region abounds with energetic young stars producing jets and outflows with luminous shock waves. Cataloged as Herbig-Haro (HH) objects, named for astronomers George Herbig and Guillermo Haro, the shocks look like red gashes in this scene that includes HH1 and HH2 just below NGC 1999. The stellar jets push through the surrounding material at speeds of hundreds of kilometers per second.

Comet ISON: Observing Campaign | SOHO | SDO | STEREO | Hangout
Tomorrow's picture: before and after

NYSC: NGC 1999 사냥꾼 오라이온의 남쪽

오리온 대성운이라 불리는 거대한 별 생성 지역의 남쪽을 보면 푸른 색상의 밝은 반사성운 NGC 1999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여기가 우리로부터 1,500 광년 떨어져 있는 오리온 분자운 복합체의 변방인 셈입니다. NGC 1999를 비춰주는 광원은 분자운 내부에 파묻혀 있는 변광성 V380 Orionis입니다. T-자 모양을 한 암흑의 구조물이 너비 10 광년의 NGC 1999 중심부에 비스듬히 누워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암흑 구조물이, 티끌을 머금은 성간운에 의해서 밝은 반사성운에 드리워진 그림자라고 믿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적외선 이미지들을 자세히 분석해 본 결과, 실은 그 암흑 구조가 매우 활동적인 신생 항성들이 성운에 뚫어놓은 일종의 구멍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부근에 활동적인 신생 항성들이 많습니다. 이 지역에서는 제트, 즉 물질의 분출류와 이에 따른 밝은 충격파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모두가 활동적인 신생 항성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허어빅-아로 목록이라는 게 있습니다. 미국 천문학자 George Herbig과 멕시코 태생 Guillermo Haro의 이름을 딴 이 목록에는 붉은 피를 흘리는 상처의 모양을 한 천체들이 등재돼 있습니다. 그 목록의 첫째와 둘째 자리를 NGC 1999 바로 밑에 보이는 HH1HH2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별에서 나온 제트는 주위의 성간물질을 초속 수백 킬로미터의 속력으로 밀어 재낍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1128.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