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1125_Anemic Spiral NGC 4921 from Hubble_허블이 본 빈혈은하 NGC4921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4. 2. 4. 17:40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November 25 

Anemic Spiral NGC 4921 from Hubble
Image Credit: Data - Hubble Legacy Archive, ESA, NASA; Processing - Roberto Colombari

Explanation: How far away is spiral galaxy NGC 4921? Although presently estimated to be about 310 million light years distant, a more precise determination could be coupled with its known recession speed to help humanity better calibrate the expansion rate of the entire visible universe. Toward this goal, several images were taken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in order to help identify key stellar distance markers known as Cepheid variable stars. Since NGC 4921 is a member of the Coma Cluster of Galaxies, refining its distance would also allow a better distance determination to one of the largest nearby clusters in the local universe. The magnificent spiral NGC 4921 has been informally dubbed anemic because of its low rate of star formation and low surface brightness. Visible in the above image are, from the center, a bright nucleus, a bright central bar, a prominent ring of dark dust, blue clusters of recently formed stars, several smaller companion galaxies, unrelated galaxies in the far distant universe, and unrelated stars in our Milky Way Galaxy.

Free lecture: APOD editor to speak in NYC on Jan. 3
Tomorrow's picture: unusual cloud

NYSC: 허블이 본 빈혈은하 NGC 4921

나선은하 NGC 4921이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추산에 의할 것 같으면 약 31천만 광년 거리에 있다고 하지만, 이보다 더 정확한 거리가 알려진다면 이 은하의 이미 알려진 적색편이 값과 더불어 정확한 거리 정보가 우주의 팽창률을 잴 수 있는 좋은 잣대를 마련해 줄 것입니다. 이러한 잣대를 마련하고자 과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을 이용하여 이 은하의 이미지를 여러 장 확보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세페이드 변광성과 같은 거리측정의 표준 광원 구실을 하는 천체들의 이미지를 얻어냈습니다. NGC 4921이 코마 은하단의 한 구성원이기 때문에, 이 은하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알아낸다는 것은 은하수 은하 가까운 우주에서 가장 큰 은하단들 중 하나의 거리가 알려진다는 뜻입니다. 장대한 나선팔을 거느린 NGC 4921이 빈혈은하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니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실은 이 은하에서의 항성 생성률이 낮고 표면의 밝기가 흐리기 때문입니다. 위의 가시광 이미지에서 아래와 같은 구조들이 눈에 띄게 드러나 보일 것입니다. 중앙에는 밝은 핵이 있고 그 핵을 관통하는 막대구조가 또한 뚜렷합니다. 그 주위를 티끌에 의한 암흑의 고리가 둘러싸고 있으며, 비교적 최근에 태어난 푸른 별들의 무리가 돋보입니다. 또 몇 개의 동반은하들이 주위에 함께 하는 듯하지만, 이들은 아주 먼 거리에 있는 이 은하와는 별개의 은하들일 것입니다. 이 사진에 별들도 많이 보이는데, 그들은 우리은하 소속으로 이 은하와는 역시 무관한 존재입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112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