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March 15
Image Credit: NRL / SECCHI / STEREO / NASA
Processing - Karl Battams (NRL and @SungrazerComets)
Explanation: After appearing in a popular photo opportunity with a young crescent Moon near sunset, naked-eye Comet PanSTARRS continues to rise in northern hemisphere skies. But this remarkable interplanetary perspective from March 13, finds the comet posing with our fair planet itself - as seen from the STEREO Behind spacecraft. Following in Earth's orbit, the spacecraft is nearly opposite the Sun and looks back toward the comet and Earth, with the Sun just off the left side of the frame. At the left an enormous coronal mass ejection (CME) is erupting from a solar active region. Of course, CME, comet, and planet Earth are all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spacecraft. (The comet is closest.) The processed digital image is the difference between two consecutive frames from the spacecraft's SECCHI Heliospheric Imager, causing the strong shadowing effect for objects that move between frames. Objects that are too bright create the sharp vertical lines. The processing reveals complicated feather-like structures in Comet PanSTARRS's extensive dust tail.
Tomorrow's picture: light-weekend
NYSC: 코로나 질량 방출, 혜성, 그리고 지구
판스타르스가 황혼녘에서 며칠 안 된 초승달과 함께 사진가들의 유명세를 타더니만, 아직도 북반구 하늘에 계속 나타나 육안 관측자들을 즐겁게 해 준다. 그러나 3월 13일 태양-혜성-지구가 행성간 공간에서 우주선 STEREO Behind와 이루는 상대 위치가 보기 드문 관측 상황을 연출했다. 혜성이, 행성으로서 어디 하나 나무랄 데가 없는 우리지구와 같이 의젓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이 우주선은 지구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중인데 현재 지구에서 볼 때 거의 태양의 뒤쪽에 자리한다. 위의 이미지는 우주선이 지구와 혜성을 뒤돌아보면서 촬영한 것이다. 현재 태양은 이 사진의 좌측 경계를 살짝 벗어난 바깥에 있다. 태양 활동 지역에서 대규모의 물질이 방출되는 거대한 코로나 질량 방출 CME 장면이 위 사진의 왼쪽에 잡혀 있다. 물론 CME, 혜성, 지구는 우주선으로부터 각기 서로 다른 거리에 떨어져 있다. 현재 셋 중에서 우주선이 혜성에 가장 가깝다. 이 사진에 보인 디지털 영상 이미지는, 우주선에 실려 있는 SECCHI Heliospheric Imager–세키 광구 이미저-가 연속해서 찍은 두 영상 프레임을 서로 빼서 얻어낸 것이다. 두 프레임을 찍는 동안에 위치를 옮긴 피사체는 이 사진에 짙은 그림자를 남기게 돼 있다. 그리고 너무 밝은 피사체들은 가는 수직선으로 나타난다. 영상 자료를 이런 방식으로 처리했기 때문에 혜성 판스타르스의 넓은 티끌 꼬리에서 아주 복잡한 깃털 구조들까지 세세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