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Image Credit: NASA, ESA, H. E. Bond (STScI)
Explanation: What caused this outburst of V838 Mon? For reasons unknown, star V838 Mon's outer surface suddenly greatly expanded with the result that it became the brightest star in the entire Milky Way Galaxy in January 2002. Then, just as suddenly, it faded. A stellar flash like this had never been seen before -- supernovas and novas expel matter out into space. Although the V838 Mon flash appears to expel material into space, what is seen in the above image from the Hubble Space Telescope is actually an outwardly moving light echo of the bright flash. In a light echo, light from the flash is reflected by successively more distant rings in the complex array of ambient interstellar dust that already surrounded the star. V838 Mon lies about 20,000 light 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unicorn (Monoceros), while the light echo above spans about six light years in diameter.
NYSC: 외뿔소자리 V838에서 나오는 빛의 메아리
이 폭발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외뿔소자리 별 V838의 외부 표면이 2002년 1월에 있었던 폭발의 결과로 갑자기 팽창하면서 우리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이 되었다. 그러더니 갑자기 흐려졌다. 별에서부터 일어난 이와 같은 섬광 현상은 이전에 관측된 적이 없다. 초신성과 신성이 자신의 물질을 우주공간으로 배출한다는 것을 잘 알려진 사실이다. 외뿔소자리 V838 의 섬광 현상으로부터 우리는 이 별도 물질을 우주 공간으로 분출 한다는 사실을 눈치 챌 수 있지만,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찍은 위 이미지의 실상은, 밝은 섬광에서 나오는 빛의 메아리가 밖으로 움직이는 현상인 것이다. 빛 메아리란, 광원에서 나온 빛이 주위 산란체에 부딪쳐서 관측자의 시선으로 들어는 현상이다. 위 사진의 경우 광원은 밝은 섬광을 내는 V388 Mon이고, 산란체는 섬광 이전부터 별을 둘러싸고 있는 성간 티끌이다. 광원에서 한 순간에 방출된 빛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큰 반지름의 구면을 통과해서 우주 공간으로 퍼져 나간다. 이때 지름을 달리하는 구면에 자리하는 티끌이 그 빛을 순차적으로 산란해서 관측자의 시선으로 들어오게 한다. 산란된 빛이 관측자까지 오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관측자가 한 순간에 볼 수 있는 빛 메아리는 특정 반경의 한 구에서만 오는 것이 아니라 반경이 다른 일련의 구들에서 각기 다른 시간에 출발하여 관측자에게 동시에 도착한 것이다. 이러한 연유에서 빛 메아리 구조는 대칭성을 띠게 마련이다. V838 Mon은 외뿔소자리 방향으로 약 2만 광년 거리에 있으며, 위 사진에 드러난 빛 메아리는 직경이 약 6광년에 이르는 것이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319_GRAIL Maps the Moon's Gravity_GRAIL이 만든 달의 중력장 지도 (0) | 2013.06.04 |
---|---|
APOD_20130318_Comet PANSTARRS Just After Sunset_해가 진 직후의 판스타르스 혜성 (0) | 2013.06.04 |
APOD_20130316_PanSTARRS from France_프랑스에서 찍은 판스타르스 (0) | 2013.06.04 |
APOD_20130315_CME, Comet and Planet Earth_코로나 질량 방출, 혜성, 그리고 지구 (0) | 2013.06.04 |
APOD_20130314_Clouds, Comet and Crescent Moon_구름, 혜성, 그리고 초승달 (0) | 201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