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2013 February 21
Illustration Credit & Copyright: Dan Durda (FIAAA, B612 Foundation)
Explanation: How would you change the course of an Earth-threatening asteroid? One possibility - a massive spacecraft that uses gravity as a towline - is illustrated in this artist's vision of a gravitational tractor in action. In the hypothetical scenario worked out in 2005 by Edward Lu and Stanley Love at NASA's Johnson Space Center, a 20 ton nuclear-electric spacecraft tows a 200 meter diameter asteroid by simply hovering near the asteroid. The spacecraft's ion drive thrusters are canted away from the surface. Their slight but steady thrust would gradually and predictably alter the course of the tug and asteroid, coupled by their mutual gravitational attraction. While it sounds like the stuff of science fiction, ion drives do power existing spacecraft. One advantage of using a gravitational tractor is that it would work regardless of the asteroid's structure. Given sufficient warning and time, a gravitational tractor could deflect the path of an asteroid known to be on a collision course enough to miss planet Earth.
Tomorrow's picture: self-portrait
NYSC: 중력 견인
어떻게 하면 지구를 소행성과의 충돌에서 보호할 수 있을까? 한 가지 가능성은, 중력을 견인줄로 사용하는 큰 질량의 우주선이다. 위의 사진은 화가의 상상력이 보여 준 중력 견인이 작동되는 상황이다. 2005년 NASA 존슨 우주센터의 에드워드 루와 스탠리 러브가 구상해낸 가상 시나리오에 의할 것 같으면, 핵 발전으로 구동되는 20톤급의 우주선이라면 소행성 주위에 머무는 것만으로도 크기 200미터 규모의 소행성은 중력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고 한다. 소행성의 표면을 비스듬히 빗겨가는 방향으로 이온-발사 추진 로켓 몇을 우주선에 장착해 놓았다. 미약하지만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추진력에다 우주선과 소행성의 상호 중력의 효과를 보태면 견인의 항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서서히 바꿔놓을 수 있다. 공상과학소설에서나 볼 수 있는 얘기라 할지 모르겠지만, 이온-발사 추진의 원리를 이용하여 실제로 움직이는 우주선이 존재한다. 중력 견인의 한 가지 장점은, 소행성의 구조와 상관없이 작동한다는 사실이다. 충분한 시간을 갖고 경고가 주어질 수 있다면, 중력 견인의 방법으로 지구와의 충돌 항로에 있다고 알려진 소행성의 경로를 바꾸어 지구를 쉽게 빗나가게 할 수 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223_Chelyabinsk Meteor Flash_첼랴빈스크 하늘에 유성이 번쩍이다 (0) | 2013.05.14 |
---|---|
APOD_20130222_Curiosity Self-Portrait Panorama_큐리어시티의 자화상 파노라마 (0) | 2013.05.14 |
APOD_20130220_Saturn's Hexagon and Rings_토성에 나타난 육각형과 고리구조 (0) | 2013.05.14 |
APOD_20130219_Mercury on the Horizon_지평선 위에 나타난 수성 (0) | 2013.05.14 |
APOD_20130218_The Great Russian Meteor of 2013_2013년, 거대한 유성의 러시아 출현 (0) | 201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