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February 9
Image Credit & Copyright: RASC Archives ; Acknowledgement: Bradley E. Schaefer (LSU)
Explanation: One hundred years ago today the Great Meteor Procession of 1913 occurred, a sky event described by some as "magnificent" and "entrancing" and which left people feeling "spellbound" and "privileged". Because one had to be in a right location, outside, and under clear skies, only about 1,000 people noted seeing the procession. Lucky sky gazers -- particularly those near Toronto, Canada -- had their eyes drawn to an amazing train of bright meteors streaming across the sky, in groups, over the course of a few minutes. A current leading progenitor hypothesis is that a single large meteor once grazed the Earth's atmosphere and broke up. When the resulting pieces next encountered the Earth, they came in over south-central Canada, traveled thousands of kilometers as they crossed over the northeastern USA, and eventually fell into the central Atlantic ocean. Pictured above is a digital scan of a halftone hand-tinted image by the artist Gustav Hahn who was fortunate enough to witness the event first hand. Although nothing quite like the Great Meteor Procession of 1913 has been reported since, numerous bright fireballs -- themselves pretty spectacular -- have since been recorded, some even on video.
Tomorrow's picture: asteroids in the distance
NYSC :1913, 유성 대행진
100년 전 바로 오늘, 장엄한 유성의 행진이 있었다. 천문학적으로 희귀 사건인 ‘1913, 유성 대행진’ 현상을 목격한 사람들은, “참으로 장엄한”, “내 넋을 온통 앗아간”, “황홀경의 극치”, “영광의 순간” 등과 같은 언사로 자신의 경험을 기술했다. 영광의 기회는 아무에게나 주어지지 않는 법이다. 우선 밤하늘이 맑아야 했고, 때마침 건물 밖에 있었으며, 위치가 캐나다 토론토 근처로 제한적이었다. 그래서 결국 1,000여 명만이 행진을 직접 관람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들이야말로 억세게 운이 좋은 하늘지기였다. 자신들의 눈으로 밤하늘을 가로질러 휘황하게 흐르는 별똥별의 행진을 여기저기서 그룹을 지어서 수분 동안 지켜볼 수 있었으니 하는 말이다. 유성 행진 현상에 관한 현재 가장 그럴듯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먼저 큰 유성체 하나가 지구 대기권을 비스듬히 스쳐 지나가다가 여러 조각으로 깨진다. 그 다음에 깨진 조각들이 지구와 근접 조우하면서 캐나다의 중남부 상공으로 진입해서 미국의 동북부를 수천 km나 가로질러 결국 대서양 한복판에 차례로 떨어진다. 위의 그림은 화가 구스타프 한이 손으로 직접 채색을 한 중간 색조의 원작을 디지털 방식으로 스캔하여 만든 것이다. 구스타프는 이 귀한 현상을 목격할 수 있었던 운이 무척 좋은 예술가였다. 1913년 이후 이와 같은 유성 행진이 보고된 바 없지만, 휘황하게 밝은 화구 현상에 대한 기록은 많이 남아있다. 개중에는 비디오로 촬영된 것들도 있다. 화구는 그 자체가 꽤나 그럴듯한 장관을 연출한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209.html'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211_N11: Star Clouds of the LMC_N11: 대마젤란성운의 별 구름[성운] (0) | 2013.05.10 |
---|---|
APOD_20130210_Asteroids in the Distance_멀리 떨어져 있는 소행성 (0) | 2013.05.10 |
APOD_20130208_NGC 6822: Barnard's Galaxy_NGC 6822: 바너드의 은하 (0) | 2013.05.10 |
APOD_20130207_Comet Lemmon near the South Celestial Pole_남극 하늘에 출현한 레몬 혜성 (0) | 2013.05.10 |
APOD_20130206_The Arms of M106_M106의 팔 (0) | 2013.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