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6 166

[APOD] 스웨덴 하늘에 펼쳐진 오로라(2016.5.3.)

스웨덴 하늘에 펼쳐진 오로라 이것은 밝고 녹색으로 하늘을 가로질러 펼쳐져 있습니다. 이 멋진 오로라 광경은 지난달에 스웨덴 외스테르순드의 바로 외곽에서 촬영한 것입니다. 6개의 시야를 찍은 사진을 합성하여 거의 180도에 이르는 파노라마 사진으로 만들어 냈습니다. 특히 이 오로라의 멋진 모습은 하늘을 휩쓸고 지나가는 호와 같은 모양과 명확한 형태에 있습니다. 전경에는 스토르스젠 호수가 보이고, 오로라 너머로 멀리 배경에는 여러 개의 친숙한 별자리들과 북극성이 보입니다. 동시에, 오로라는 왼쪽 아래에 보이는 달을 피해서 펼쳐져 있습니다. 이 오로라는 태양 코로나의 커다란 구멍에서 특히 에너지가 높은 입자가 태양계로 흘러나가고 나서 하루 후에 보였습니다. 오로라의 초록색은 지구 고층대기에서 주변의 전자들과 ..

국문 APOD/2016 2016.05.31

[APOD] 카리나 성운의 구름들(2016.5.16.)

카리나 성운의 구름들 카리나 성운의 안개 안에는 어떤 것들이 숨어있을까요? 이 어둡고 불길한 모양은 실제로 분자구름들입니다. 분자구름은 분자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뭉치들로 너무 두터워서 불투명하게 보일뿐입니다. 그렇긴 하지만 비교하자면 이 구름들은 지구의 대기보다 훨씬 밀도가 낮습니다. 여기서는 카리나 성운 핵의 상세한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영역에서는 어둡거나 형형색색의 가스와 먼지 구름들이 특히 돋보입니다. 이 이미지는 지난 달 호주 Siding Spring Observatory에서 촬영되었습니다. 비록 성운은 여기서 초록색으로 표현된 수소 가스로 대부분 구성되어있기는 하지만, 이 이미지는 각각 빨강과 파랑으로 표시된 미세한 양의 황과 산소에서 나온 빛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카리나 성운의 ..

국문 APOD/2016 2016.05.16

[APOD]화성을 가로지르다(2016.5.2.)

화성을 가로지르다 나사 (NASA)의 큐리오시티 로버는 도대체 화성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요? 탐사선의 지리적인 목적지는 샤프산(Mount Sharp)의 경사면입니다. 이 산의 꼭대기가 사진 배경 오른쪽에 보입니다. 그러나 과학적인 핵심 목표는 화성의 환경이 언제, 어느 곳에서 한 번이라도 생명, 특히 미생물에게 적합한 적이 있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목표를 위해 큐리오시티는 사진의 왼쪽 전경에 보이는 나우트크루프트 (Nautkluft) 고원의 험난한 지형을 가로질러 왔습니다. 큐리오시티는 적철광과 황산염이 포함된 돌이 있는 매끄러운 언덕지역을 향해 가로지르면서, 이 지역이 마르기 전에 얼마나 오랫동안 젖어있었는지 즉, 생명에게 얼마나 더 적합한 지역이었는지 새로운 단서를 얻고자 하였습니다. 하지..

국문 APOD/2016 2016.05.02

[APOD] 먼지의 천사성운(2016.4.28.)

먼지의 천사성운 은하수를 따라 펼쳐진 별들의 합성된 빛이 우리은하면 위에 약300광년 정도 솟구쳐 있는 이 우주 먼지구름에 의해 반사되었습니다. 천사성운이라고 이름이 붙은 희미한 유령은 어둡고 비교적 탐사되지 않은, 널리 퍼진 분자구름들의 거대한 복합체의 일부분입니다. 높은 은하 위도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먼지로 된 은하 새털구름들은 은하의 남극과 북극 방향에 넓은 지역에 걸쳐있습니다. 별빛의 반사와 함께, 성간먼지알갱이들이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 복사를 눈에 보이는 붉은빛으로 바꿈에 따라, 먼지구름들이 희미한 붉은 빛을 내고 있습니다. 가까운 우리 은하 별들과 멀리 배경의 다른 은하들이 모여 있는 이 장면은 큰곰자리 방향으로 우리 지구의 하늘을 가로질러 보름달 10개 정도 너비의 폭에 해당하..

국문 APOD/2016 2016.04.28

[APOD] NGC 6872: 길게 뻗은 나선 은하(2016.4.26.)

NGC 6872: 길게 뻗은 나선 은하 무엇이 이 나선은하를 이렇게 길게 만들었을까요? 위에서 아래까지 약 70만 광년이 넘게 뻗어 있는 NGC 6872는 콘도르 은하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알려진 가장 길게 뻗은 막대나선 은하들 중 하나입니다. 이 은하의 길게 뻗은 모양은 사진의 중앙 상단에 있는 이보다 작은 은하인 IC 4970과의 계속된 충돌로 인한 결과로 보입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사진에서 보이는 왼쪽 위에 있는 NGC 6872의 나선 팔이 비정상적으로 엄청나게 많은 푸른 별이 형성되는 지역들을 보여주고 있는 것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보고 있는 빛은 공룡의 시대 이전인 대략 3억 년 전에 이 충돌하는 은하에 거대한 거성들을 떠난 것입니다. NGC 6872는 공작자리(Pavo=공작자리) 방향에서 ..

국문 APOD/2016 2016.04.26

[APOD] 초신성 잔해 Simeis 147:스파게티 성운(2016.4.25.)

초신성 잔해 Simeis 147 : 스파게티 성운이 스파게티 성운의 복잡한 가닥들을 따라가면 길을 잃기 쉽습니다. Simeis 147과 Sh2-240으로 분류된 이 초신성 잔해는 빛나는 가스 필라멘트로, 6개의 보름달이 차지하는 하늘의 영역, 거의 3도의 하늘을 덮고 있습니다. 실제 별의 잔해 구름은 약 150광년 크기이고, 지구로부터 3,000광년 떨어져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선명한 합성사진은, 충격파에 의해 빛나는 가스를 추적할 수 있는 수소원자 방출선을 강조하는 협대역 필터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초신성 잔해의 나이는 약 40,000년이라 추정되며, 이는 이 거대한 별 폭발에서 나온 빛이 약 40,000년 전에 지구에 처음 도달했다는 것입니다. 이 팽창하는 잔해가 그 폭..

국문 APOD/2016 2016.04.25

[APOD] M16: 창조의 기둥들(2016.4.24.)

M16: 창조의 기둥들 갓 태어난 별들이 독수리 성운 안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1995년 허블망원경으로 촬영된 이 이미지는 분자수소 가스와 먼지의 기둥들로부터 벗어나고 있는 증발하는 기체 포자들(Evaporating Gaseous globules = EGGs)을 보여줍니다. 거대한 기둥들은 광년의 길이를 가지며, 내부의 가스가 중력적으로 수축하여 별을 형성할 정도로 밀도가 높습니다. 각 기둥의 끝부분에서는, 밝고 어린 별들의 강력한 복사에 의해 낮은 밀도의 물질들이 주변으로 날려버리게 됩니다. 그리고 그 결과로 밀도 높은 기체 포자(EGGs)들이 노출되어 별들의 탁아소를 남겨놓았습니다. 산개성단 M16과 관련된 독수리 성운은, 7000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창조의 기둥들은 궤도를 선회하는..

국문 APOD/2016 2016.04.24

[APOD] 콜롬비아 위로 떠오르는 안드로메다(2016.4.19.)

콜롬비아 위로 떠오르는 안드로메다 언덕 위로 떠오르는 것은 무엇일까요? 은하입니다. 은하를 한 번도 본 적이 없었던 부지런한 천체사진가의 세 친구들은 우리 은하수 은하의 띠뿐만 아니라 그 이웃인 안드로메다은하가 보이는 아주 신나는 밤하늘을 직접 관측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이런 장면을 얻으려면 조심스런 사전 계획이 요구됩니다. 즉 좋은 관측 장소를 찾고, 좋은 날씨를 기다리고, 확대렌즈를 통한 상대적 각 크기를 조절하고, 지상의 불빛을 고려하고, 대기의 소광을 최소화하는 것 등을 포함한 여러 신중한 사전 계획이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계산된 계획에 따라 친구들이 250미터 떨어진 50미터의 높이의 언덕으로 올라갔습니다. 이 한번 노출로 얻은 사진은 작년 7월 26일 밤 11시30분에 메델린(Medellin)..

국문 APOD/2016 2016.04.19

[APOD] 지구 위의 국제우주정거장(2016.4.18.)

지구 위의 국제우주정거장 국제우주정거장은 인간이 우주에서 만든 가장 큰 물체입니다. 비록 우주정거장의 작은 영역만이 인간이 거주할 있는 모듈들로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우주정거장의 전체크기는 대략 축구경기장에 필적할 만큼 넓게 펼쳐져있습니다. 우주정거장은 너무 커서 지구에서 한 번에 발사하여 만들 수 없어서, 부분 부분을 조금씩 우주에 보내 지속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우주정거장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ISS는 길이가 15미터나 되고 질량이 10,000kg이 넘는 거대한 트러스 구조를 필요로 하며, 이것들은 ISS를 단단히 고정하고 전기와 액체 냉각제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사진 속의 거대한 우주정거장은 2010년에 일주일간 머문 후 귀환하여 이제는 은퇴한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에서 촬영한 ..

국문 APOD/2016 2016.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