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37

[APOD] 멕시코모자 은하, 솜브레로 은하(2015.2.5.)

M104 : 멕시코모자 은하, 솜브레로 은하 (The Sombrero Galaxy) 굉장히 매력적인 나선 은하 M104는 빛을 차단하는 먼지 띠가 넓게 퍼진 고리 모양으로, 거의 측면의 은하를 둘러 싼 모습을 보이는 유명한 은하이다. 검은 윤곽은 넓게 퍼져있는 별들의 팽대부와 대비되며, 우주 먼지의 긴 띠가 마치 넓은 챙으로 둘러싼 모자의 모습을 떠올리게 하여 멕시코모자 은하, 솜브레로 은하라는 더 유명한 이름이 생기게 되었다. 허블 우주 망원경과 지상 스바루(Subaru) 망원경으로 관측한 자료를 아마추어 색 사진과 함께 재가공하여, 이 잘 알려진 은하의 보다 선명한 모습을 만들어 냈다. 재처리한 결과, 자연스러운 색감이 나타났으며, 작은 지상 망원경으로 볼 때는 너무 강력하게 빛나는 M104의 밝은 ..

국문 APOD/2015 2015.02.05

[APOD] 별, 빛 가닥, 구름, 오로라(2015.2.4.)

별, 빛 가닥, 구름, 오로라 하늘에 저 붉은 빛 가닥들은 무엇일까? 멀리 뇌우 너머에 예상치 못한 오로라를 촬영하는 동안 무엇인지 기이한 붉은 색 빛 가닥들이 나타났다. 높은 고도에서 번개가 치는 일이 흔치 않지만 이 짧은 순간에 너무 강력하게 밝아져서 이것들은 여러 사람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목격되었다. 2013년 5월 미국 미네소타(Minnesota)에서 찍은 사진을 보면 붉은 빛 가닥들은 낮은 고도에서 아주 강력하게 발생한 평범한 번개가 발생된 이후 생긴 것 같다. 위의 사진에서는 앞쪽에 집과 전신주, 낮은 지구 대기층에 두꺼운 구름들, 지평선 근처에 번개 폭풍, 멀리 붉은 빛 가닥들과 상층 대기에 초록색 오로라, 그리고 우리 은하에 태양근처에 있는 먼 별들이 있다. 이 환상적인 이미지는 붉은 빛 ..

국문 APOD/2015 2015.02.04

[APOD] 츄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의 제트(2015.2.3)

츄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의 제트 혜성의 꼬리는 어디로부터 생겨나는 걸까? 비록 혜성의 꼬리와 코마가 혜성의 중심핵에서 생겨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지만, 정확히 어떻게 그런 일이 생기는지는 여전히 학계의 활발한 연구 주제이다. 최근에 발생한 제트를 찍은 사진 중 가장 멋진 사진 하나가 특집기사에 실렸다. 이 사진의 주인공은 지난 11월에 로제타 우주선이 찍은 혜성 67P/츄류모프-게라시멘코의 모습으로 지난달에 출시되었다. 노출 과다의 이 사진에서는 혜성이 태양에 다가가면서 받는 열로 인해 혜성 CG의 핵 곳곳에서 뿜어져 나오는 가스와 먼지 기둥들을 확연히 볼 수 있다. 비록 현재 혜성 CG는 화성보다 태양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지만, 다가오는 8월쯤이면 지구에 거의 가깝게 근접하게 될 것이고,..

국문 APOD/2015 2015.02.03

[APOD] 타이탄 바다들의 태양 반사 빛(2015.2.2.)

타이탄 바다들의 태양 반사 빛 왜 타이탄의 표면이 눈부신 섬광으로 밝아진 것일까? 그 이유는 : 액체 바다에서 보인 태양반사 빛 때문이다.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은 메탄으로 된 여러 개의 잔잔한 호수를 가지고 있다. 이는 각도가 잘 맞으면, 마치 거울에 반사되는 것처럼 태양 빛을 반사한다. 이 이미지는 가짜 색이지만, 토성 주위를 돌고 있는 카시니 탐사선이 지난여름 구름에 싸인 타이탄을 구름을 투과하는 적외선으로 여러 파장에서 촬영한 것이다. 이 놀라운 반사 빛은 너무 밝아서 카시니 적외선 카메라 중 하나는 과다노출 되었다. 비록 태양 반사 빛이 성가시기는 하지만 비춰진 영역을 사실적으로 보여주는데 유용했다. 반사되는 지역들은 타이탄의 북반구에 넓고 복잡한 바다들이 나열되어 있으며, 그 기하학적 특징에서 ..

국문 APOD/2015 2015.02.02

[APOD] 생쥐 은하들의 충돌: NGC 4676 (2015.2.1.)

생쥐 은하들의 충돌: NGC 4676 두 개의 강력한 은하가 서로 서로 잡아 뜯어지고 있습니다. 마치 긴 꼬리를 가지고 있는 듯 보여 “생쥐”로 알려진 각각의 나선은하는 이미 상대방 은하를 통과한 듯합니다. 이 긴 꼬리들은 각각의 은하가 서로에게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에 미치는 상대적인 차등중력에 의해 생성된 것 입니다. 둘 사이의 거리가 꽤 멀기 때문에, 우주적 중력 상호작용은 수억 년이 넘는 시간동안 천천히 작용합니다. NGC 4676은 버니스의 머리카락이라고도 불리는 머리털자리방향으로 약 3억 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으며, 머리털자리 (코마) 은하단에 속합니다. 위 사진은 2002년 허블우주망원경의 탐사를 위해 개선된 관측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었습니다. 이 생쥐 은하들은 아마도 하나의 은하로 합쳐질 때..

국문 APOD/2015 2015.02.01

[APOD] W33안의 노란공들(2015.1.31.)

W33안의 노란공들 굉장히 매력적인 이 사진은 스핏져우주망원경(Spitzer Space Telescope)으로 3.6, 8.0, 24미크론(100만분의 1미터, 기호: μ)의 적외선 파장으로 촬영한 것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빨강색, 초록색, 파랑색으로 변환한 것이다. W33이라 불리는 이 우주먼지와 가스구름은, 우리 은하면 근처에 약 13,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질량이 큰 별들의 생성 복합체이다. 그럼 이 노란공들은 무엇인가? 그것은 웹을 기반으로 한 우리은하 프로젝트 (Milky Way Project, 별탄생지 관측계획)에 참여한 시민과학자들이 스핏져우주망원경의 사진을 살펴보다 소위 노란 공으로 부르는 이 형태를 발견하고 줄기차게 그 질문을 (‘노란공들은 무엇인가?’) 연구원들에게 던졌다. 이..

국문 APOD/2015 2015.01.31

[APOD] 포커 플랫에서의 밤(2015.1.30.)

포커 플랫에서의 밤 1월26일, 알레스카 대학교 포커연구단지에서 나사의 4개 저궤도 탐사로켓이 밤하늘을 날아오르고 있다. 위 사진은 환상적인 오로라가 펼쳐진 겨울의 밤하늘에 4개의 다단 로켓들이 날아가는 모습을 타임랩스 기법으로 촬영하고 이미지를 합성한 것이다. 알레스카 페어뱅크스 북쪽으로 30마일(48k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영상이 촬영되는 동안 지평선 위쪽으로 북극성을 중심으로 한 일주사진도 같이 담겨졌다. 녹색 펄스 레이저광인 라이더도 사진의 왼쪽에 흔적을 남겼다.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한 4대의 로켓 중 2대는 중간권-하부 온도권 난기류 실험기, 나머지 2대에는 중간권 층상 난기류 역전층 실험기가 탑재되었으며, 높은 고도에서 만들어낸 증기가 지상 관측소에서 관측되었다. 원문 출처: http:/..

국문 APOD/2015 2015.01.30

[APOD] M44와의 근접(2015.1.29.)

M44와의 근접 1월 26일 월요일 소행성2004 BL86이 지구에서 약 120만킬로미터 정도 가깝게 접근한 궤도를 추적했다. 이 거리는 지구와 달의 거리에 약 3.1배 이거나 4광속 떨어진 정도이다. 소행성은 지구의 밤 하늘을 빠르게 지나가며, 1월 27일 이태리 Piemonte 40분간의 긴 노출을 통해서 촬영되었다. 두드러지게 아름다운 사진은 M44를 포함하는데 게자리의 벌집형태 혹은 프로세페 성단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소행성과 M44의 근접은 지구근처소행성과 성단 근처에 있으나 실제 성단과 소행성 사이의 거리는 약 600광년이다. 아직도 지구와 가까이 근접하여 있어 캘리포니아 Goldstone의 NASA's Deep Space Network antenna로 상세하게 레이더 관측이 가능하고, 소행..

국문 APOD/2015 2015.01.29

[APOD] 겨울 하늘 속 러브조이 혜성(2015.1.28.)

겨울 하늘 속 러브조이 혜성 장시간의 노출로 촬영한 이 아름다운 북반구의 겨울 하늘에서 밤하늘을 대표하는 것들을 한번 찾아보세요. 오리온 벨트를 이루는 삼태성, 오리온 대 성운, 플레이아데스 성단, 베텔게우스와 리겔, 캘리포니아 성운, 버나드 고리, 그리고 러브조이 등이 있겠네요. 삼태성은 지평선과 거의 수직을 그리며 사진 중앙에 위치해 있는데, 그 중 제일 아래쪽에 위치한 별은 불꽃성운에 의해 살짝 가려져있습니다. 삼태성의 왼쪽을 보면 마치 활처럼 생긴 붉은 버나드의 고리가 있고, 이어서 밝게 빛나는 주황색의 베텔게우스도 보입니다. 이번에는 오른쪽을 볼까요? 화려한 색깔의 오리온 대 성운과 파랗게 빛나는 리겔이 보이네요. 사진의 중앙 꼭대기 부근에는 푸르고 밝은 별들의 집단인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그리..

국문 APOD/2015 2015.01.28

[APOD] 플랑크 인공위성이 관측한 우리은하의 자기장(2015.1.27.)

플랑크 인공위성이 관측한 우리은하의 자기장 우리은하의 자기장은 어떤 모습일까요? 우리 은하의 자기장이 은하 전체에 만연하다는 것은 배경의 빛을 산란시키는 먼지 입자들이 정렬되어 있는 것을 보고 오래 전부터 알았던 사실입니다. 그러나 아주 최근에 와서야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플랑크 위성이 고해상도 자기장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색을 입힌, 하늘에 30도 영역의 넓은 지도는, 다른 어떤 것보다도, 은하의 성간 자기장이 은하의 원반 가운데에서 가장 강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은하 중심부 근처에 대전된 가스가 회전하면서 자기력을 만들며, 우리 은하를 위에 본다면 자기장이 나선팔이 중심에서부터 밖으로 소용돌이치며 나감에 따라 나타나게 됩니다. 플랑크 지도와 이와 유사한 지도에 보이는 많은 세세한 부분들은 무엇이 ..

국문 APOD/2015 201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