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2013 March 30
Image Credit & Copyright: Lorenzo Comolli - Model Overlay: Marco Fulle (INAF)
Explanation: For northern hemisphere skygazers, fading Comet PanSTARRS (C/2011 L4) still hangs above the western horzion, after sunset but before moonrise in the coming days. Its perspective from planet Earth continues to reveal the comet's broad dust tail. This long exposure tracking the comet, made on March 21, has been enhanced to show remarkable, subtle striations in PanSTARRS' tail. Place your cursor over the image (or click here) to show an overlay of the dust tail with a model network of synchrones and syndynes. Synchrones (long dashed lines) trace the location of dust grains released from the comet nucleus at the same time and with zero velocity. The successive synchrone lines shown are separated by 1 day and start at the bottom, 10 days before the comet's March 10 perihelion passage. Syndynes (solid lines) show the location of dust grains of the same size, also released with zero velocity. Dust grains 1 micron wide lie along the upper syndyne. The grain width increases counterclockwise to 500 micron wide grains along the syndyne nearly parallel to the comet's orbit (short dashed line through the nucleus location). In the model, forces acting on the dust grains were assumed to be gravity and the pressure of sunlight. The periodic striations in PanSTARRS' tail seem to closely follow the model synchrone lines.
Image Scale: On March 21 Comet PanSTARRS was about 180 million kilometers away. At that distance, this picture would be almost 4 million kilometers wide.
NYSC: 꼬리를 넓게 펼친 판스타르스 혜성
북반구에 사는 하늘지기들에 대한 특별 배려의 뜻에서인지 빛을 잃어가는 판스타르스가 아직 서쪽 지평선 위에서 서성이는 중이다. 앞으로 며칠 동안은 일몰 후 그러나 월출 전에 서쪽 하늘에서 볼 수 있을 것이다. 행성 지구와 이루는 기하학적 배치의 특성상, 판스타르스는 지구인들에게 자신의 넓은 꼬리를 한 동안 펼쳐 보일 것이다. 3월 21일 판스타르스를 추적하며 장기 노출로 얻은 결과를 잘 손질하여 꼬리의 보일 듯 말듯 한 줄무늬 구조가 잘 드러나도록 하였다. 커서를 이미지 위로 옮겨보면 모형 계산을 통해 구한 싱크론과 신다인의 궤적들이 티끌 꼬리 위에 겹쳐 나타날 것이다. 긴 쇄선으로 표시된 싱크론은, 초기 속력 0으로 혜성의 핵을 출발한 티끌들이 천구상에 그리는 시간 궤적이다. 맨 아래 싱크론에서 위쪽의 것으로 하나씩 올라갈수록, 티끌이 핵을 출발한 시각이 하루씩 늦어진다. 맨 밑에 있는 싱크론이, 근일점 통과 열흘 전에 핵을 출발한 티끌의 궤적이다. 이 혜성의 근일점 통과는 3월 10일에 있었다. 실선으로 표시된 신다인 곡선은, 동일한 크기의 티끌들이 그리는 궤적이다. 이 경우에도 핵을 출발한 초기 속력은 0으로 잡았다. 맨 위의 커브가 1 마이크론 크기의 티끌들이 그리는 궤적이며, 반시계 방향으로 돌아내려가면서 티끌의 크기가 증가한다. 맨 아래선이 500 마이크론 티끌의 궤적인데, 혜성의 핵에서 시작하는 짧은 점선으로 나타낸 혜성 자체의 궤도와 거의 평행하다. 싱크론과 신다인에 티끌에 작용하는 힘이 필요하다. 태양 중력과 태양광에 의한 복사압을 다 고려했다. 판스타르스의 꼬리에 보이는 줄무늬들이 모형 계산에 의한 싱크론 곡선을 잘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401_Moon or Frying Pan?_달 또는 프라잉 팬 (0) | 2013.06.12 |
---|---|
APOD_20130331_Flying Over the Earth at Night_한밤중에 지구 상공을 비행하다. (0) | 2013.06.12 |
APOD_20130329_Ringside with Rhea_고리의 단면과 같이 한 레아 (0) | 2013.06.12 |
APOD_20130328_Unraveling NGC 3169_나선 팔이 풀리는 중인 NGC 3169 (0) | 2013.06.12 |
APOD_20130327_A Horizon Rainbow in Paris_파리의 지평선 무지개 (0) | 201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