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324_Dust Pillar of the Carina Nebula_카리나 성운의 띠끌 기둥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6. 12. 21:58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March 24 

Dust Pillar of the Carina Nebula
Image Credit: NASA, ESA, N. Smith (U. California, Berkeley) et al.,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Explanation: Inside the head of this interstellar monster is a star that is slowly destroying it. The monster, actually an inanimate pillar of gas and dust, measures over a light year in length. The star, not itself visible through the opaque dust, is bursting out partly by ejecting energetic beams of particles. Similar epic battles are being waged all over the star-forming Carina Nebula (NGC 3372). The stars will win in the end, destroying their pillars of creation over the next 100,000 years, and resulting in a new open cluster of stars. The pink dots are newly formed stars that have already been freed from their birth monster. The above image is only a small part of a highly detailed panoramic mosaic of the Carina Nebula taken by the Hubble Space Telescope in 2007. The technical name for the stellar jets are Herbig-Haro objects. How a star creates Herbig-Haro jets is an ongoing topic of research, but it likely involves an accretion disk swirling around a central star. A second impressive Herbig-Haro jet is visible across the bottom of a larger image.

Tomorrow's picture: oldest surface

NYSC: 카리나 성운의 띠끌 기둥

성간 괴물의 머리에서 별 하나가 자신이 태어난 이 괴물을 서서히 파괴하는 중이다. 괴물이라고 했지만 사실은 가스와 티끌로 이뤄진 무생물 기둥으로 전체 길이가 1광년을 좀 넘는 암흑 성간운이다. 별 자체는 티끌 구름층에 가려서 이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구름 안에서 강력한 에너지의 입자들을 분출하는 중이므로 언젠가는 구름 밖으로 자신의 얼굴을 팍 내밀 것이다. 신생 항성과 괴물의 대결은 영웅적 성격의 대서사시가 될지 모를 일이다. 비슷한 성격의 전투가, 별들이 한창 태어나는 중인 카리나 성운 NGC 3372 도처에서 벌어지고 있다. 이 전쟁은 결국 별들이 이기게 돼 있다. 별 하나하나는 앞으로 10만 년 안에 자신이 태어난 암흑의 기둥을 무너뜨리고 신생 산개 성단의 무리로 나타날 것이다. 분홍 점들이 새로 만들어진 별들이다. 저들은 탄생의 원천인 괴물로부터 이제 완전히 해방되어 밖으로 나왔다. 위 이미지는 2007년 허블 우주 망원경이 만든 카리나 성운의 지극히 상세한 파노라마의 일부분 일 뿐이다. 전문적 용어로는 항성에서 불어나오는 물질이 만든 제트 구조를 허어빅-아로 천체라고 부른다. 어떻게 별이 허어빅-아로 제트를 만드는지는 한창 연구 중인 주제이다. 자세히는 모르지만 천문학자들은, 중심 별 주위를 휘감아 도는 강착원반과 제트 사이에 모종의 연관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두 번째 허어빅-아로 천체가 위의 이미지보다 넓은 시야를 잡은 사진의 하단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32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