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321_NGC 2736: The Pencil Nebula_NGC 2736 : 연필 성운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6. 4. 14:44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March 21 

 

NGC 2736: The Pencil Nebula
Image Credit & Copyright: Martin Pugh

Explanation: Moving left to right near the center of this beautifully detailed color composite, the thin, bright, braided filaments are actually long ripples in a sheet of glowing gas seen almost edge on. The interstellar shock wave plows through space at over 500,000 kilometers per hour. Cataloged as NGC 2736, its elongated appearance suggests its popular name, the Pencil Nebula. The Pencil Nebula is about 5 light-years long and 800 light-years away, but represents only a small part of the Vela supernova remnant. The Vela remnant itself is around 100 light-years in diameter, the expanding debris cloud of a star that was seen to explode about 11,000 years ago. Initially, the shock wave was moving at millions of kilometers per hour but has slowed considerably, sweeping up surrounding interstellar material. In the narrowband, wide field image, red and blue-green colors track the characteristic glow of ionized hydrogen and oxygen atoms.

Tomorrow's picture: comet castle

NYSC: NGC 2736 : 연필 성운

이 아름다운 천연색 합성 사진에는 좌에서 우로 중앙부까지 얇지만 밝은 필라멘트 구조의 구겨진 침대보 같은 한 장의 천이 죽 펼쳐 있습니다. 빛을 내는 가스가 천의 형국으로 분포하는 것입니다. 우리 시선이 천의 면과 거의 평행하게 놓여 있습니다. 성간 충격파가 시속 50만 km 이상의 속력으로 진행하면서 눈을 치는 데 사용되는 넉가래같이 성간 물질을 휩쓸고 나가면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800광년 떨어져 있는 폭 5광년의 이 연필 성운은 사실 벨라 초신성 잔해의 일부일 뿐입니다. 목록에는 NGC 2736이란 이름으로 등재돼 있지만 성운의 모습이 기다랗기 때문에 연필 성운이라고도 곧잘 불립니다. 벨라 성운 자체의 직경은 약 100광년으로서, 약 11,000년 전에 있었던 어떤 별의 폭발 잔해가 팽창하여 이 정도의 공간을 차지하게 된 것입니다. 초신성 폭발에 의한 충격파가 초기에는 시속 수백만 km의 속력으로 진행하지만, 주위 성간 물질을 밀어내면서 팽창하게 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팽창 속력은 현격하게 떨어지게 마련입니다. 위의 협대역 광시야 이미지에서, 전리된 수소와 산소 원자들에서 방출되는 특정 파장의 선복사가 각각 적과 청록색입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32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