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March 23
Credit: ESA / NASA / JPL-Caltech / STScI
Explanation: Cosmic dust clouds ripple across this infrared portrait of our Milky Way's satellite galaxy, the Large Magellanic Cloud. In fact, the remarkable composite image from the Herschel Space Observatory and the Spitzer Space Telescope show that dust clouds fill this neighboring dwarf galaxy, much like dust along the plane of the Milky Way itself. The dust temperatures tend to trace star forming activity. Spitzer data in blue hues indicate warm dust heated by young stars. Herschel's instruments contributed the image data shown in red and green, revealing dust emission from cooler and intermediate regions where star formation is just beginning or has stopped. Dominated by dust emission, the Large Magellanic Cloud's infrared appearance is different from views in optical images. But this galaxy's well-known Tarantula Nebula still stands out, easily seen here as the brightest region to the left of center. A mere 160,000 light-years distant, the Large Cloud of Magellan is about 30,000 light-years across.
NYSC: 적외선으로 본 대마젤란성운의 얼굴 모습
우주의 티끌 구름들이 은하수 은하의 위성인 대마젤란운의 얼굴을 온통 주름지게 했습니다. 허셜 우주 천문대와 스핏처 우주 망원경이 각각 우주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합성하여 만든 이 사진을 보면, 은하수의 이웃인 대마젤란운에도 성간 티끌이 들어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티끌 존재의 관점에서 볼 때, 왜소 은하의 상황도 우리은하의 중심면에서와 같다고 하겠다. 티끌 온도가 별 탄생 활동의 정도를 알려 준다. 푸르스름한 색깔로 표현한 스핏처 자료는 젊은 별에 의해 가열된 따뜻한 티끌의 분포상을 알려준다. 한편 허셜에 실린 계측기들은 이 사진에 적색과 녹색으로 표시된 지역, 즉 별 탄생이 막 시작됐거나 이미 끝난 지역을 알아내는데 주요한 기여를 했다. 성간 티끌에 의한 적외선 방출로 드러난 대마젤란운의 모습은 광학 파장대역에서의 모습과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그렇지만 이 왜소 은하에서 유명한 독거미성운은 적외선 이미지에서도 자신의 존재를 확실하게 드러내고 있다. 사진 중앙에서 왼쪽으로 약간 치우친 곳의 매우 밝은 지역을 주목해 보면 독거미의 모습을 알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은하로부터 거리가 겨우 16만 광년이다. 전체 크기는 3만 광년이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325_Planck Maps the Microwave Background_프랭크 마이크로파 우주 배경복사 분포도 (0) | 2013.06.12 |
---|---|
APOD_20130324_Dust Pillar of the Carina Nebula_카리나 성운의 띠끌 기둥 (0) | 2013.06.12 |
APOD_20130322_Comet Castle_혜성의 성 (0) | 2013.06.12 |
APOD_20130321_NGC 2736: The Pencil Nebula_NGC 2736 : 연필 성운 (0) | 2013.06.04 |
APOD_20130320_M42: Inside the Orion Nebula_M42 : 오라이온 대 성운의 내부 (0) | 201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