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311_Sakurajima Volcano with Lightning_사쿠라지마 화산에 번개가 치다.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6. 4. 11:52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March 11

Sakurajima Volcano with Lightning
Image Credit & Copyright: Martin Rietze (Alien Landscapes on Planet Earth)

Explanation: Why does a volcanic eruption sometimes create lightning? Pictured above, the Sakurajima volcano in southern Japan was caught erupting in early January. Magma bubbles so hot they glow shoot away as liquid rock bursts through the Earth's surface from below. The above image is particularly notable, however, for the lightning bolts caught near the volcano's summit. Why lightning occurs even in common thunderstorms remains a topic of research, and the cause of volcanic lightning is even less clear. Surely, lightning bolts help quench areas of opposite but separated electric charges. One hypothesis holds that catapulting magma bubbles or volcanic ash are themselves electrically charged, and by their motion create these separated areas. Other volcanic lightning episodes may be facilitated by charge-inducing collisions in volcanic dust. Lightning is usually occurring somewhere on Earth, typically over 40 times each second.

Tomorrow's picture: last swirl

NYSC: 사쿠라지마 화산에 번개가 치다. 

왜 화산 폭발은 때때로 번개를 불러오는 것일까? 위 사진은 일본 남부의 사쿠라지마 화산이 지난 1월 초에 폭발하는 장면이다. 빛을 낼 정도로 매우 뜨거운 마그마 거품이 총알처럼 씨웅씨웅 소리를 내며 사방으로 날아가는 중에, 바위는 녹아서 지표를 뚫고 분출한다. 이는 어느 화산 폭발 현장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지만, 위 사진에는 특별한 점이 있다. 화산의 정상 근처를 번개가 때리고 있으니 말이다. 화산은 고사하고 흔한 폭풍의 경우에서조차 왜 번개가 일어나는지는 여전히 연구과제로 남아있다. 화산과 번개의 관계는 더욱 모른다. 번개는 부호가 다른 전하를 띤 두 영역의 전하를 중화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은 확실하다. 그렇다면 화산 번개 현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이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뿜어져 나오는 마그마 거품이나 화산재 자체가 전하를 띠고 있으면서 그들의 상대적 움직임이 화산 분출물을 부호를 달리하는 두 개의 영역으로 우선 갈라놓는다. 그 다음에 벌어지는 화산 번개와 관련된 다양한 현상들은, 화산재 구름 안에서의 전하-유도 충돌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번개는 지구 어디에서든 항시 볼 수 있다. 보통 1초마다 40번을 상회하는 빈도로 발생한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31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