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March 8
Credit: NASA, ESA, Hubble Heritage/ESA-Hubble Collaboration - Acknowledgment: Nick Rose
Explanation: Want to use a cluster of galaxies as a telescope? It's easier than you might think as distant galaxy clusters naturally act as strong gravitional lenses. In accordance with Einstein's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the cluster gravitational mass, dominated by dark matter, bends light and creates magnified, distorted images of even more distant background galaxies. This sharp infrared Hubble image illustrates the case for galaxy cluster Abell 68 as a gravitational telescope, explored by amateur astronomer Nick Rose during the ESA-Hubble Hidden Treasures image processing competition. Putting your cursor over the picture will label highlights in the scene. Labels 1 and 2 show two lensed images of the same background galaxy. The distorted galaxy image labeled 2 resembles a vintage space invader! Label 3 marks a cluster member galaxy, not gravitationally lensed, stripped of its own gas as it plows through the denser intergalactic medium. Label 4 includes many background galaxies imaged as elongated streaks and arcs. Abell 68 itself is some 2.1 billion light-years distant toward the constellation Vulpecula. The central region of the cluster covered in the Hubble view spans over 1.2 million light-years.
NYSC: 은하단 아벨 68을 통해서 보다.
은하단을 망원경처럼 사용하고 싶은가? 멀리 떨어져 있는 은하단이 자연스럽게 강력한 중력의 렌즈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은하단을 하나의 망원경으로 사용하기란 당신이 생각하기보다 어쩌면 훨씬 더 수월한지 모를 일이다. 암흑물질이 중력 질량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은하단을 배경 은하에서 오는 빛이 통과할 때,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따라서, 그 진행 방향이 꺾이게 된다. 따라서 은하단 배후에 있는 은하들의 모습이 이상하게 과장되거나 왜곡되어 나타난다. 허블 망원경으로 촬영한 이 선명한 적외선 이미지에서 우리는 중력 망원경으로 기능한 아벨 68 은하단의 역할을 그대로 알아볼 수 있다. 아마추어 천문가 Nick Rose가 ESA-허블의 숨겨진 보물 이미지 찾기 대회에 참여하여 만들어낸 결과가 이 사진에 그대로 담겨있다. 커서를 사진 위로 옮겨 놓으면 번호가 붙은 몇 개 영역이 강조돼 표시될 것이다. 라벨 1과 2에는 같은 배경 은하가 중력 렌즈에 다르게 왜곡된 이미지가 보인다. 라벨 2가 붙은 왜곡 이미지는, 게임의 고전이라 할 우주 침입자를 연상케 한다. 라벨 3은 은하단의 한 구성원인 은하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중력 렌즈를 통해 나타나게 된 왜곡 이미지가 아니라 고밀의 은하간 물질 속을 이 은하가 지나가면서 자신이 갖고 있던 가스를 빼앗겨 벌거벗은 모습이다. 라벨 4에는 긴 줄과 호의 모양을 한 배경 은하의 이미지들이 들어있다. 아벨 68 자체는 여우자리 쪽으로 약 21억 광년 떨어져있으며, 위의 허블 사진에 드러난 중심부의 직경만 하더라도 120만 광년에 이른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310_Milky Way Panorama from Mauna Kea_마우나케아에서 보는 우리은하의 파노라마 (0) | 2013.06.04 |
---|---|
APOD_20130309_PanSTARRS over Parkes_파키스 천문대 상공에 나타난 판스타르스 (0) | 2013.06.04 |
APOD_20130307_Thor's Helmet_토르 신의 헬멧 (0) | 2013.05.31 |
APOD_20130306_Tardigrade in Moss_이끼 속 완보류 (0) | 2013.05.31 |
APOD_20130305_Comets Lemmon and PanSTARRS Peaking_밝기의 절정에 이르는 레몬과 판스타르스 (0) | 201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