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306_Tardigrade in Moss_이끼 속 완보류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5. 31. 17:15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March 6  

Tardigrade in Moss
Image Credit & Copyright: Nicole Ottawa & Oliver Meckes / Eye of Science / Science Source Images

Explanation: Is this an alien? Probably not, but of all the animals on Earth, the tardigrade might be the best candidate. That's because tardigrades are known to be able to go for decades without food or water, to survive temperatures from near absolute zero to well above the boiling point of water, to survive pressures from near zero to well above that on ocean floors, and to survive direct exposure to dangerous radiations. The far-ranging survivability of these extremophiles was tested in 2011 outside an orbiting space shuttle. Tardigrades are so durable partly because they can repair their own DNA and reduce their body water content to a few percent. Some of these miniature water-bears almost became extraterrestrials recently when they were launched toward to the Martian moon Phobos on board the Russian mission Fobos-Grunt, but stayed terrestrial when a rocket failed and the capsule remained in Earth orbit. Tardigrades are more common than humans across most of the Earth. Pictured above in a color-enhanced electron micrograph, a millimeter-long tardigrade crawls on moss.

Follow APOD on: Facebook (Daily) (Sky) (Spanish) or Google Plus (Daily) (River)
Tomorrow's picture: Thor's day

NYSC: 이끼 속 완보류

이것이 바로 외계 생물이 아닐까요? 아마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지상에 존재하는 모든 동물 중에서 완보류가 외계 생물의 가장 그럴듯한 후보일지 모를 일입니다. 왜냐고요? 이 녀석들은 음식과 물을 전혀 먹지 않은 채 수십 년을 버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견딜 수 있는 온도의 범위 역시 엄청납니다. 춥기로는 절대온도 0도 근처에서 덥기로 말할 것 같으면 물의 비등점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도 끄떡없이 살아남습니다. 압력으로 말할 것 같으면, 0기압에서 바다 밑 바닥에서보다 훨씬 높은 압력에도 견딥니다. 어디 그뿐인 줄 아십니까. 보통 생물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는 강력한 복사장에 노출돼도 이 녀석들은 아무런 이상이 없습니다. 지구 궤도에 있는 스페이스 셔틀 외부에서, 이들 극한생물이 생존할 수 있는 조건의 범위가 얼마나 되는지 조사한 적이 있습니다. 2011년이었습니다. 완보류가 특별히 강인한 것은 DNA를 스스로 수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체내의 수분 함량을 수 퍼센트의 수준까지 낮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들 미니어처 물곰 중 어떤 녀석들이 최근에 외계생명체가 될 뻔 했습니다. 러시아의 포보스-그룬트 미션 수행을 위한 우주선에 실려서 화성의 위성 포보스로 가도록 돼 있었거든요. 그러나 로켓의 실패로 완보류가 탄 캡슐이 지구 궤도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지상에서 완보류가 실은 사람보다 흔합니다. 위 과장된 색상의 사진은 1mm 길이의 완보류 한 마리가 이끼 위를 걷고 있는 모습입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30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