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202_Herschel's Andromeda_안드로메다의 허셜 사진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5. 8. 19:59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February 2 

 

Herschel's Andromeda
Image Credit: ESA/Herschel/PACS & SPIRE Consortium, O. Krause, HSC, H. Linz

Explanation: This infrared view from the Herschel Space Observatory explores the Andromeda Galaxy, the closest large spiral galaxy to our own Milky Way. Only 2.5 million light-years distant, the famous island universe is also known to astronomers as M31. Andromeda spans over 200,000 light-years making it more than twice the size of the Milky Way. Shown in false color, the image data reveal the cool dust lanes and clouds that still shine in the infrared but are otherwise dark and opaque at visual wavelengths. Red hues near the galaxy's outskirts represent the glow of dust heated by starlight to a few tens of degrees above absolute zero. Blue colors correspond to hotter dust warmed by stars in the more crowded central core. Also a tracer of molecular gas, the dust highlights Andromeda's prodigious reservoir of raw material for future star formation.

Tomorrow's picture: impressions with gas and dust

NYSC :안드로메다의 허셜 사진

허셜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이 적외선 사진은, 우리 은하와 가장 가깝고 제법 큰 나선형 안드로메다 나선은하의 것이다. 겨우 250만 광년 거리에 있는 이 유명한 섬 우주를 천문학에서는 M31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안드로메다는 그 크기가 20만 광년으로서 우리은하의 2배 이상이다. 이 사진은 적외선으로 찍은 안드로메다 은하의 가색 영상이다. 가시광에서는 어둡고 불투명한 지역으로 나타나지만, 이 지역에 있는 저온의 성간티끌이 강한 적외선을 방출하므로, 적외선 파장역에서는 밝게 빛난다. 이 적외선 복사를 가색으로 처리하여 티끌이 존재하는 실오라기 구조물와 성간운들의 분포상을 확실하게 드러내보였다. 은하 변두리 근처에 빨간 색깔로 처리된 지역은, 절대온도 영도에서 겨우 몇 십도 높은 티끌이 내놓는 적외선 복사를 드러낸 것이다. 티끌은 별빛을 흡수하면 이 정도로 가열 될 수 있다. 중심핵에는 별들이 밀집해 있기 때문에 그 지역의 성간 티끌은 이보다 좀 더 높은 온도로까지 가열될 수 있다. 이렇게 비교적 뜨거운 티끌이 존재하는 지역은 파란 색깔로 나타냈다. 또한 분자 성분의 가스와 반드시 섞여 있기 마련인 성간 티끌의 존재로부터 우리는 장차 별이 형성되는데 필요한 원료 물질이 안드로메다 은하에 엄청나게 많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20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