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119_Barnard Stares at NGC 2170_바너드가 NGC 2170을 바라보다.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5. 7. 19:59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January 19 

 Barnard Stares at NGC 2170
Image Credit & Copyright: John Davis

Explanation: A gaze across a cosmic skyscape, this telescopic mosaic reveals the continuous beauty of things that are. The evocative scene spans some 6 degrees or 12 Full Moons in planet Earth's sky. At the left, folds of red, glowing gas are a small part of an immense, 300 light-year wide arc. Known as Barnard's loop, the structure is too faint to be seen with the eye, shaped by long gone supernova explosions and the winds from massive stars, and still traced by the light of hydrogen atoms. Barnard's loop lies about 1,500 light-years away roughly centered on the Great Orion Nebula, a stellar nursery along the edge of Orion's molecular clouds. But beyond lie other fertile star fields in the plane of our Milky Way Galaxy. At the right, the long-exposure composite finds NGC 2170, a dusty complex of nebulae near a neighboring molecular cloud some 2,400 light-years distant.

Tomorrow's picture: deep sea astronomy
 

NYSC : 바너드가 NGC 2170을 바라보다. 

망원경으로 우주의 한 폭 풍경을 가로질러 바라본 모자이크 사진에 이 지역 그대로의 아름다움이 완연하게 드러나 있다. 여러 가지를 연상케 하는 이 사진이 담아낸 하늘의 폭이 6° 남짓한데, 지구의 하늘에 비친 달이라면 그 안에 12개가 들어갈 수 있다. 왼쪽에 보이는 붉게 빛나는 여러 겹의 가스층은 폭 300광년의 거대한 호상弧狀 구조의 일부분이다. 바너드 루프라고 불리는 이 구조는 질량이 큰 별이 아주 오래전에 폭발하면서 남긴 흔적인데, 너무 희미해서 맨 눈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수소 원자가 내놓는 빛을 통하면 그 존재를 겨우 알아볼 수는 있다. 수소의 재결합 방출 선으로 드러낸 이 모습의 대종은 질량이 큰 별들에서 불어나오는 항성풍이 빚어낸 것이다. 바너드 루프는 대략 1,500광년 거리에서 그 중심에 오리온 대성운을 두고 있다. 한편 오리온 대성운은 거대한 오리온 분자운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데 그 안에서는 별들이 한창 태어나고 있다. 그 너머 우리은하의 중심면에도 별들이 많이 탄생하는 또 다른 지역이 존재한다. 장기 노출 영상들을 합성하여 만든 이 사진의 오른쪽에 NGC 2170가 보인다. 약 2,400광년 떨어져 있는 분자운 근처에 자리하는 성간먼지 구름 복합체의 일부가 NGC 2170이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11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