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January 17
Image Credit: X-ray - NASA, JPL-Caltech, NuSTAR; Optical - Ken Crawford (Rancho Del Sol Obs.)
Explanation: The aftermath of a cosmic cataclysm, supernova remnant Cassiopeia A (Cas A) is a comfortable 11,000 light-years away. Light from the Cas A supernova, the death explosion of a massive star, first reached Earth just 330 years ago. Still expanding, the explosion's debris cloud spans about 15 light-years near the center of this composite image. The scene combines color data of the starry field and fainter filaments of material at optical energies with image data from the orbiting NuSTAR X-ray telescope. Mapped to false colors, the X-ray data in blue hues trace the fragmented outer boundary of the expanding shock wave, glowing at energies up to 10,000 times the energy of the optical photons.
NYSC : 카시오페아 A : 가시광과 x선에 드러난 모습
초신성 폭발이야말로 우주에서 볼 수 있는 대격변의 현상이라 하겠다. 질량이 큰 별의 폭발적 죽음이 초신성으로 나타나는데, 카시오페아 A가 그러한 초신성 폭발의 잔해이다. 태양으로부터 11,000광년은 됨직한 거리에 떨어져 있다. 카시오페아 A에서 출발한 빛이 지구에 처음 도달한 게 지금으로부터 약 330년 전이었다. 카시오페아 A는 현재도 팽창 중이다. 그래서 잔해의 중심 폭이 지금 약 15광년에 이른다. 사진의 중앙부를 차지하는 구형 잔해의 지름이 15광년이란 뜻이다. 이 사진은 가시광과 엑스선으로 찍은 영상을 조합하여 만든 것이다. 가시광 사진은, 별이 총총한 지역의 색깔 정보와 흐릿한 필라멘트 물질이 내는 광학 에너지 대역의 빛으로 빚어낸 것이다. 푸르스름한 색깔의 엑스선 영상은 지구를 선회하는 위성 NuSTAR가 X선 망원경으로 촬영한 것이며, 팽창 중인 충격파에 의해 깨진 외곽 고리 물질을 주로 보여준다. 그 물질이 우리 눈에 푸른색으로 보인다는 게 아니라 푸른 색깔로 표시했단 말이다. x선 광자는 가시광에 비해 그 에너지가 10,000배나 높기 때문에 우리 눈이 전혀 감지할 수 없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119_Barnard Stares at NGC 2170_바너드가 NGC 2170을 바라보다. (0) | 2013.05.07 |
---|---|
APOD_20130118_Stickney Crater_Stickney 구덩이 (0) | 2013.05.07 |
APOD_20130116_NGC 1309: Spiral Galaxy and Friends_나선은하 NGC 1309와 그 친우들 (0) | 2013.05.07 |
APOD_20130115_A Solar Ballet_태양이 펼치는 광란의 춤사위 (0) | 2013.05.07 |
APOD_20130114_NGC 2170: Celestial Still Life_NGC 2170: 하늘에 그린 정물화 (0) | 201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