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January 7
Image Credit & Copyright: Martin Pugh
Explanation: AE Aurigae is called the flaming star. The surrounding nebula IC 405 is named the Flaming Star Nebula and the region seems to harbor smoke, but there is no fire. Fire, typically defined as the rapid molecular acquisition of oxygen, happens only when sufficient oxygen is present and is not important in such high-energy, low-oxygen environments. The material that appears as smoke is mostly interstellar hydrogen, but does contain smoke-like dark filaments of carbon-rich dust grains. The bright star AE Aurigae, visible near the nebula center, is so hot it is blue, emitting light so energetic it knocks electrons away from atoms in the surrounding gas. When an atom recaptures an electron, light is emitted creating the surrounding emission nebula. In this cosmic portrait, the Flaming Star nebula lies about 1,500 light years distant, spans about 5 light years, and is visible with a small telescope toward the constellation of the Charioteer (Auriga).
Tomorrow's picture: island universe
NYSC: 마차부자리 AE 별과 불꽃별 성운
우리는 마차부자리의 변광성 AE를 ‘불꽃별’이라는 특별한 이름으로 부른다. 그리고 이 별을 둘러싼 성운 IC 405가 ‘불꽃별 성운’이다. 연기가 자욱하게 차있는 것 같지만, 그렇다고 불이 난 건 아니다. 불은 보통 급격한 산화 과정으로 정의 된다. 산소 분자가 물질에 매우 격렬한 반응을 일으키면서 들러붙을 때 흔히 불이 난다._ssh 그러니까 충분한 양의 산소가 존재할 때만 불을 볼 수 있다. 높은 에너지에다 산소의 함량이 무척 낮은 우주 환경에서는 통상의 발화 현상은 기대할 수 없다. 여기서 연기같이 보이는 물질은 거의 대부분 성간 수소이지만, 수소가스와 함께 포함된 탄소 성분의 성간티끌 알갱이들이 검은 실오라기 구조를 만들어 연기같이 보이게 하는 것이다. 성운 중심에 밝게 보이는 마차부자리 AE는 매우 뜨거운 별이어서 푸르게 보인다. 이 별이 내놓은 광자들의 에너지가 또 충분히 높아서 주위에 있는 중성의 가스 원자들에서부터 전자들을 떼어낼 수 있다. 떨어져 나간 전자가 이미 전자를 잃어버린 이온들과 다시 결합할 때 광자가 방출된다. 고온의 항성 주위에 이렇게 해서 방출선 성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 사진에 실린 불꽃별 성운은, 태양으로부터 약 1,500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으며, 전체 폭이 약 5광년에 이른다. 불꽃별 성운은 소구경의 망원경으로도 마차부자리에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113_NGC 602 and Beyond_NGC 602와 그 너머 세상 (0) | 2013.05.07 |
---|---|
APOD_20130112_Ten Billion Earths_백억 개의 지구 (0) | 2013.05.07 |
APOD_20130111_The Fornax Cluster of Galaxies_화로자리 은하단 (0) | 2013.05.07 |
APOD_20130110_The Orion Bullets_사냥꾼 오라이온이 쏜 총알 (0) | 2013.05.07 |
APOD_20130109_The Elusive Jellyfish Nebula_해파리 성운 (0) | 201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