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110_The Orion Bullets_사냥꾼 오라이온이 쏜 총알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5. 7. 17:31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January 10 

The Orion Bullets
Image Credit: GeMS/GSAOI Team, Gemini Observatory, AURA
Processing: Rodrigo Carrasco (Gemini Obs.), Travis Rector (Univ. Alaska Anchorage)

Explanation: Cosmic bullets pierce the outskirts of the Orion Nebula some 1500 light-years distant in this sharp infrared close-up. Blasted out by energetic massive star formation the bullets, relatively dense, hot gas clouds about ten times the size of Pluto's orbit, are blue in the false color image. Glowing with the light of ionized iron atoms they travel at speeds of hundreds of kilometers per second, their passage traced by yellowish trails of the nebula's shock-heated hydrogen gas. The cone-shaped wakes are up to a fifth of a light-year long. The detailed image was created using the 8.1 meter Gemini South telescope in Chile with a newly commisioned adaptive optics system (GeMS). Achieving a larger field of view than previous generation adaptive optics, GeMS uses five laser generated guide stars to help compensate for the blurring effects of planet Earth's atmosphere.

Best of APOD 2012: Download a free 2013 APOD Calendar
Tomorrow's picture: Fornax Cluster  

NYSC : 사냥꾼 오라이온이 쏜 총알

‘우주의 총알’들이 1500광년 거리에 자리한 오리온 대성운의 외곽지대에 숱한 구멍들을 내놓는 중입니다. 이 적외선 칼러 사진에 청색으로 나타낸 것들이 ‘총알’입니다. 사진의 해상도가 특히 높기 때문에 탄환의 존재가 아주 적나라하게 드러났습니다. ‘총알’이라 부르긴 했지만, 실은 큰 질량의 별들이 태어나는 현장에서 격렬하게 튀어나온 비교적 고밀 ․ 고온의 구름 덩어리입니다. 그 크기가 명왕성 궤도의 10여 배에 이르는 실은 거대한 존재입니다. 전리된 철 이온이 방출하는 선 복사가 총알의 존재를 환하게 드러내 줬습니다. 같은 선 복사를 통하여 총알의 속력이 초속 수백 킬로미터라는 사실도 밝혀졌습니다. 노랑으로 표시된 부분이 총알의 초음속 질주가 만든 충격파에 의해 가열된 성운의 수소 가스입니다. 총알 후방에 충격파가 지나면서 만든 난기류가 길이 0.2내지 1광년에 이르는 원추형의 흔적을 남겼습니다. 칠레에 있는 구경 8.1M의 제미니 남반구 망원경 - GeMS, Gemini South telescope - 에 새로 만든 적응광학계를 장착해서 이 정도로 높은 해상도의 사진을 찍을 수 있었습니다. GeMS에서는 시야를 이전 세대 적응광학계에서 허용되던 것보다 더 넓게 확보하기 위하여 레이저 별 5개를 이용하여 행성 지구의 대기 요동에 인한 상의 흐려짐 효과를 보정합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11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