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상 성운 5

[APOD] NGC 6369: 작은 유령 성운 (2017.10.28.)

NGC 6369: 작은 유령 성운 유령 같은 NGC 6369는 밤하늘에 대중에게 잘 알려진 ’작은 유령 성운’으로 흐릿한 환영처럼 보입니다. 이 성운은 18세기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 경이 발견한 것인데, 그가 병을 고친다는 전설을 가진 뱀주인자리를 망원경을 사용하여 탐사했을 때 발견하였습니다. 허셜은 둥글고 행성 모양의 성운을 행성상 성운으로 분류하였습니다. 하지만 행성상 성운은 일반적으로 행성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대신에 행성상 성운은 태양과 같은 별의 일생의 마지막에 생성되는 가스로 된 껍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죽어가는 별의 바깥 껍질은 별의 중심부가 수축하여 백색왜성으로 되는 동안 우주로 팽창합니다. 백색왜성으로 바뀐 중심부 근처는 자외선 파장에서 강력한 빛을 방출하며 팽창하는 성운이 내는 ..

국문 APOD/2017 2017.10.30

[APOD] 고양이 눈 성운(2016.07.03.)

고양이 눈 성운 3천 광년 거리에서 죽어가는 별이 빛나는 가스 껍질을 벗어 던지고 있습니다.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이 사진은, 고양이 눈 성운이 알려진 행성상 성운 중에서 가장 복잡한 것 중에 하나라는 사실을 밝혀내었습니다. 사실, 이 고양이 눈 안에서 보이는 여러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은 성운 중심의 밝은 천체가 쌍성일 것이라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대상을 지칭하던 행성상 성운이라는 용어는 오해를 사기 쉽습니다. 비록 이 천체들의 둥근 모양 때문에 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행성처럼 보이지만, 고해상도 이미지를 보면, 이들이 별 진화과정 마지막 단계에서 뿜어져 나오는 가스 막들로 둘러싸인 별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원문출처: https://apod.nasa.gov..

국문 APOD/2016 2017.09.27

[APOD] 적외선으로 본 나사 성운 (2016.9.20.)

적외선으로 본 나사 성운 무엇이 이 우주 눈을 이처럼 붉게 보이게 만들까요? 먼지입니다. 스피쳐 우주 망원경으로 찍은 위의 이미지는 물병자리 방향으로 약 700광년 떨어져 있으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나사 성운 (NGC 7293)에서 나오는 적외선 빛을 보여줍니다. 중심부의 백색왜성을 둘러싸고 있는 2광년 크기의 먼지와 가스 덮개는 태양과 같은 별의 진화에서 마지막 단계인 행성상 성운의 우수한 예로 생각되어왔습니다. 그러나 스피처 자료는 성운의 중심별 자체가 놀랍게도 밝은 적외선을 방출하여 붉은 빛에 담겨있는 것을 보여줍니다. 모형들은 붉은 빛이 먼지 부스러기 원반에서 만들어지는 것을 암시합니다. 비록 성운을 이루는 물질은 별에서 수천년 전에 분출되었지만 가까운 안쪽 먼지는 우리 태양계의 카이퍼 벨트나..

국문 APOD/2016 2016.10.24

[APOD] 모래시계 행성 성운 MyCn18 (2015.5.10.)

모래시계 행성 성운 MyCn18 모래시계 같은 행성상 성운의 중심별에서 시간의 모래가 바닥나고 있다. 핵연료의 고갈과 함께 태양 같은 별은 짧고 장대한 마지막 단계에서 자신의 외곽 표피를 모두 우주공간으로 날려 버리게 되고 이로부터 남겨진 핵은 냉각되며 사라지는 백색왜성이 된다. 지난 1995년, 천문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을 사용해여, 위에 보이는 것과 같은 행성상 성운 사진들을 연속적으로 촬영했다. 사진에서 화려한 색채의 가스(질소 - 빨간색, 수소-초록색, 산소-파란색)가 만들어내고 있는 미묘한 고리들은 가느다란 모래시계 모양의 테두리를 만들고 있다. 전례없는 허블우주망원경 이미지들의 정밀도가 성운의 방출 과정을 놀랍도록 자세한 부분까지 밝혀내고 있으며, 이로서 행성상 성운의 복잡한 구조와 대칭성에 ..

국문 APOD/2015 2015.05.10

[APOD] 우주 허블 망원경이 보내 온 고양이 눈을 닮은 성운(204.11.9.)

허블이 보내 온 고양이 눈 성운 어떤 이들에게 위 사진은 고양이의 눈처럼 보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그것은 지구에서 3천 광년 떨어진 우주 공간에 펼쳐져 있는 고양이 눈 성운입니다. 전형적인 행성상 성운인 고양이 눈 성운(NGC 6543)은 태양과 같은 별이 생을 마감하는 순간 나타나는데, 짧은 순간이지만 눈부시도록 아름다운 모습을 연출합니다(수만 년 동안 지속되지만 태양과 같은 별의 수명이 수십억 년 이상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수만 년은 짧은 순간이 아닐 수 없다). 이 성운의 중심부에서 죽어가는 별은 계속된 맥동을 통해 외피층을 날려버리게 됩니다. 그 결과 먼지투성이인 바깥쪽에 별을 중심으로 하는 먼지투성이의 껍질을 만들어 냈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름다우면서, 굉장히 복잡한 내부구조의 형성과정에 대해..

국문 APOD/2014 2014.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