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3

APOD_20130820_Venus and the Triply Ultraviolet Sun_금성과 자외선 영역의 3가지 색으로 본 태양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3. 9. 6. 19:05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August 20

Venus and the Triply Ultraviolet Sun
Image Credit: NASA/SDO & the AIA, EVE, and HMI teams; Digital Composition: Peter L. Dove

Explanation: An unusual type of solar eclipse occurred last year. Usually it is the Earth's Moon that eclipses the Sun. Last June, most unusually, the planet Venus took a turn. Like a solar eclipse by the Moon, the phase of Venus became a continually thinner crescent as Venus became increasingly better aligned with the Sun. Eventually the alignment became perfect and the phase of Venus dropped to zero. The dark spot of Venus crossed our parent star. The situation could technically be labeled a Venusian annular eclipse with an extraordinarily large ring of fire. Pictured above during the occultation, the Sun was imaged in three colors of ultraviolet light by the Earth-orbiting Solar Dynamics Observatory, with the dark region toward the right corresponding to a coronal hole. Hours later, as Venus continued in its orbit, a slight crescent phase appeared again. The next Venusian solar eclipse will occur in 2117.

Tomorrow's picture: flying through comet dust

NYSC: 금성과 자외선 영역의 3가지 색으로 본 태양

특이한 형태의 일식이 지난해에 있었다. 보통 일식은 지구의 달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이다. 지난해 6월, 대단히 드문 일이지만, 이번에는 금성이 달의 역할을 맡았다. 달에 의한 일식이 일어날 때처럼, 태양, 금성, 지구가 놓이는 방향이 일직선에 가까워질수록, 금성이 서서히 얇은 초승달 모양이 되어간다. 결국, 셋이 완벽하게 일직선을 이루는 순간, 금성의 위상이 0까지 내려간다. 금성이 지구에 드리운 그림자 때문에 지구인에게는 어두운 금성이 우리의 모성(母星)인 태양의 전면을 가로질러 지나는 것같이 보인다. 이 상황은 엄밀히 따지면 금성에 의한 금환일식인 셈이다. 단지 차이라면 엄청나게 큰 불의 고리를 동반하는 금환식이라는 점이다. 위 사진은 금성에 의한 태양면 가림, 즉 엄폐현상이 일어나는 동안 촬영한 것이다. 여기에 나타난 태양의 모습은,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태양 활동 관측 위성에서 세 가지 빛으로 촬영하여 합성한 결과다. 오른쪽 방향의 어두운 지역이 코로나 구멍에 해당한다. 금성이 자신의 궤도를 계속 돌아서, 몇 시간 후에, 작은 초승달의 모습으로 다시 나타났다. 금성에 의한 다음 번 일식은 2117년에 있을 것이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3082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