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2013 July 27
Image Credit & Copyright: Yuri Beletsky (Las Campanas Observatory, Carnegie Institution)
Explanation: Storm clouds do sometimes come to Chile's Atacama desert, known as the driest place on Earth. These washed through the night sky just last month during the winter season, captured in this panoramic view. Drifting between are cosmic clouds more welcome by the region's astronomical residents though, including dark dust clouds in silhouette against the crowded starfields and nebulae of the central Milky Way. Below and right of center lies the Large Magellanic Cloud, appropriately named for its appearance in starry southern skies. City lights about 200 kilometers distant still glow along the horizon at the right, while bright star Canopus shines above them in the cloudy sky.
NYSC: 아타카마 사막의 구름 낀 밤하늘
지구에서 가장 건조하다는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에도 폭풍우를 머금은 먹구름들이 종종 몰려온답니다. 여기는 지금이 겨울인데 위의 사진은 지난달 어느 날에 촬영한 것입니다. 이날 밤하늘을 휩쓸고 지나간 먹구름들이 여기 보인 파노라마에 고스란히 잡혀 있습니다. 이 지역에 상주하는 천문학자라면 먹구름보다 그 사이를 유유히 흘러가는 우주의 구름을 더 환영할 게 뻔합니다. 우주에도 먹구름이 있긴 합니다. 별이 촘촘한 밀집 지역과 은하수 은하의 중심에 자리하는 성운들을 배경으로 자신의 윤곽을 드러낸 저 암흑의 성간 티끌 구름들을 눈여겨보시기 바랍니다. 사진 중앙에서 밑으로 내려와 오른쪽으로 치우친 곳에서 대마젤란운이 자신의 의젓한 자태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대마젤란운이란, 별이 촘촘한 하늘을 배경으로 한 저 위풍당당함과 잘 어울리는 은하의 이름이라 하겠습니다. 마젤란이 지구를 최초로 일주한 스페인의 항해사가 아니던가요. 사진의 오른 쪽 지평선 근처에 200km나 떨어진 도시의 야경이 빛을 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노인성은 야경 위로 높이 떠서 구름 잔뜩 낀 밤하늘에다 자신의 밝은 빛을 새겨놓았습니다.
'국문 APOD >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_20130729_Saturn, Titan, Rings, and Haze_토성, 타이탄, 고리 그리고 헤이즈 (0) | 2013.08.13 |
---|---|
APOD_20130728_Hoag's Object: A Strange Ring Galaxy_호액의 천체:이상한 모양의 고리은하 (0) | 2013.08.13 |
APOD_20130726_The Elephant's Trunk in IC 1396_ IC 1396에 있는 코끼리의 코 (0) | 2013.08.13 |
APOD_20130725_The Beautiful Trifid_ 아름다운 삼렬성운 (0) | 2013.08.13 |
APOD_20130724_A Year of Sky on Earth_지구에서 본 1년 동안의 하늘 (0) | 201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