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APOD/2014

[APOD] 블랑코 망원경과 허블 우주 망원경이 본 나사성운 (2014.10.12.)

국립청소년우주센터 2014. 10. 12. 19:03

블랑코 망원경과 허블 우주 망원경이 본 나사성운

어떻게 하나의 별이 나사성운(Helix)을 만들었을까? 나사성운과 같은 행성상 성운의 모양은 태양과 같은 별들이 종말을 어떻게 끝내는가에 대한 실마리를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우주궤도를 도는 허블 우주 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과 칠레에 있는 직경이 4m인 블랑코(Blanco) 망원경에서 관측한 사진은 나사성운이 단순한 나사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오히려 나사성운은 거의 수직인 두 개의 원반뿐만 아니라 원호들, 충격파, 그리고 심지어 잘 이해되지 않는 모양들로 합성되어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놀랍게도 기하학적으로 대칭인 모양들이 많이 보인다. 어떻게 태양과 같은 하나의 별이 그와 같이 아름답고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모양을 만들 수 있을까? 이것이 천문학자들이 밝히려는 연구 주제다. 나사성운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상 성운으로 물병자리 방향으로 700광년 정도 떨어져 있고, 약 3광년에 걸쳐 펼쳐져 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41012.html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4 October 12

The Helix Nebula from Blanco and Hubble
Image Credit: C. R. O'Dell, (Vanderbilt) et al. ESA, NOAO, NASA

Explanation: How did a star create the Helix nebula? The shapes of planetary nebula like the Helix are important because they likely hold clues to how stars like the Sun end their lives. Observations by the orbiting Hubble Space Telescope and the 4-meter Blanco Telescope in Chile, however, have shown the Helix is not really a simple helix. Rather, it incorporates two nearly perpendicular disks as well as arcs, shocks, and even features not well understood. Even so, many strikingly geometric symmetries remain. How a single Sun-like star created such beautiful yet geometric complexity is a topic of research. The Helix Nebula is the nearest planetary nebula to Earth, lies only about 700 light years away toward the constellation of Aquarius, and spans about 3 light-years.

APOD Wall Calendar: Nebulas and Star Clusters
Tomorrow's picture: sky spr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