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3 October 27
Sungrazer
Image Credit: LASCO, SOHO Consortium, NRL, ESA, NASA
Explanation: Arcing toward a fiery fate, this Sungrazer comet was recorded by the SOHO spacecraft's Large Angle Spectrometric COronagraph(LASCO) on December 23, 1996. LASCO uses an occulting disk, partially visible at the lower right, to block out the otherwise overwhelming solar disk allowing it to image the inner 8 million kilometers of the relatively faint corona. The comet is seen as its coma enters the bright equatorial solar wind region (oriented vertically). Positioned in space to continuously observe the Sun, SOHO has now been used to discover over 1,500 comets, including numerous sungrazers. Based on their orbits, the vast majority of sungrazers are believed to belong to the Kreutz family of sungrazing comets created by successive break ups from a single large parent comet that passed very near the Sun in the twelfth century. The Great Comet of 1965, Ikeya-Seki, was also a member of the Kreutz family, coming within about 650,000 kilometers of the Sun's surface. Passing so close to the Sun, Sungrazers are subjected to destructive tidal forces along with intense solar heat. This small comet, known as the Christmas Comet SOHO 6, did not survive. Later this year, Comet ISON, potentially the brightest sungrazer in recorded history but not a Kreutz sungrazer, is expected to survive.
NYSC: 태양근접혜성
불타는 운명을 향해 아치를 그리며 돌진하는 태양근접혜성은 1996년 12월 23일 소호 우주선에 장착된 LASCO(광각 분광 코로나 사진기)으로 촬영되었다. LASCO는 엄폐 디스크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눈부시게 밝은 태양 면을 가리고 상대적으로 희미한 코로나의 8백만 km 이내 영역을 촬영하기 위함이다. 위 사진에는 태양 엄폐가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오른쪽 아래 부분에 빛이 새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태양풍(사진 상에 수직으로 뻗어있는)이 강하게 부는 적도지역(수직 방향으로)을 향해 달려가는 혜성의 모습이 담겨 있다. 소호 우주선은 우주 공간에 머물며 태양을 지속적으로 관측한 결과, 많은 수의 태양근접혜성을 포함하여 1,500여 개 이상의 혜성을 발견하였다. 혜성들의 궤도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태양근접혜성의 대부분이 크로이츠 혜성군의 일원인 것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 크로이츠 혜성군은 12세기에 태양 가까이 지나가던 거대 모(母) 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태양근접 혜성의 집합체이다. 1965년 태양 표면으로부터 약 650,000 km까지 들어온 거대 혜성 이케야-세키 또한 크로이츠 혜성군의 구성원이다. 태양에 매우 가까이 근접하는 혜성은 강한 태양열과 조석력에 의해 파괴된다. 크리스마스 혜성 소호 6라고 알려진 이 작은 혜성은 결국 살아남지 못하였다. 올해 말에, 크로이츠 혜성군의 멤버는 아니지만, 기록 역사상 가장 밝은 태양근접혜성일 것이라 생각되는 아이손이 태양을 방문한다. 이 혜성은 살아남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