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질량의 블랙홀이 지나가는 별을 산산 조각내다.
별이 블랙홀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요? 지구 궤도를 공전중인 관측위성이 최근 ASASSN-14li 라 명명된 현상을 기록하였고. 여기에는 멀리 떨어진 은하의 중심에 한 별의 끔찍한 이야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록 각도로 분해되지 않았지만, 고에너지 빛의 변화하는 모습은, 이 별의 일부가 쪼개지고 어둡고 깊은 심연 주변을 소용돌이치는 원반으로 재구성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이 가상 시나리오에서 그려진 것은 블랙홀의 회전축을 따라 제트가 형성됩니다. 하얀색으로 보이는 원반의 가장 깊숙한 부분은 x-선으로 가장 강력하게 빛을 내며, 아마도 푸른색으로 보이는 주기적인 바람을 만들어 낼지도 모릅니다. 앞으로 블랙홀에 의해서 부서진 별 쪼가리에서 나오는 X-선과 자외선 관측은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불랙홀을 포함하여 우주에서 제일 뜨겁고 가장 중력이 강력한 곳에서의 복잡한 역학 관계에 대해 실마리를 줄 겁니다.
원문출처: http://apod.nasa.gov/apod/ap151028.html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Discover the cosmos! Each day a different image or photograph of our fascinating universe is featured, along with a brief explanation written by a professional astronomer.
2015 October 28
Massive Black Hole Shreds Passing Star
Illustration Video Credit: NASA's Goddard Space Flight Center, CI Lab
Explanation: What happens when a star gets too close to a black hole? Recent observations from Earth-orbiting observatories of an event dubbed ASASSN-14li, in a distant galactic center, appears to be giving one star's harrowing story. Although angularly unresolved, variations in high energy light indicate that some of the star became shredded and reformed into a disk swirling around the dark abyss. In the hypothesized scenario envisioned, a jet formed on the spin axis of the black hole. The innermost part of the disk, colored white, glows most strongly in X-rays and may drive a periodic wind, shown in blue. Future X-ray and ultraviolet observations of stellar disruptions by black holes -- including those in the center of our own galaxy -- hold promise of telling us about the complex dynamics of some of the hottest and highest-gravity places in the universe.
Tomorrow's picture: within the soul
'국문 APOD > 2015'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OD] 카론(Charon)과 명왕성의 작은 위성들(2015.10.26.) (0) | 2016.10.20 |
---|---|
[APOD] 하트 성운(Heart Nebula) 안의 밝은 빛(2015.10.27.) (0) | 2016.10.18 |
[APOD] 모뉴먼트(Monument) 계곡 하늘 위로 펼쳐진 은하수(2015.11.1.) (0) | 2016.10.13 |
[APOD] 스피츠코페(Spitzkoppe) 아치(Arch) 아래 금성을 찾다.(2015.11.3.) (0) | 2016.10.12 |
[APOD] NGC 1333: 페르세우스자리에 위치한 별의 요람(2015.11.05.) (0) | 2016.10.10 |